일본의 과학포경선이 남극해에서 밍크고래를 잡고 있는 모습. 세계동물보호협회(WSPA) 제공
일본 정부가 상업적 포경 재개를 국제사회에 줄기차게 요구하다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관련 국제기구에서 탈퇴할 방침을 굳혔다. 일본은 정부는 일본 근해와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상업적 고래잡이를 재개할 방침이다.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일본 정부가 국제포경위원회(IWC)에서 탈퇴한다는 방침을 여당인 자민당 의원들에게 전달했다고 20일 보도했다. 국제포경위원회는 1982년 상업적 고래잡이 중지를 결정했고, 가맹국 일본도 1988년 이후에는 공식적으로 상업적 고래잡이를 중단했다.
일본 정부는 최근 고래 개체 수가 증가했으니 상업적 포경을 허용하자고 주장해왔다. 9월에 열린 국제포경위원회 총회에서 밍크고래 등 일부 고래의 상업적 포경 허용 제안을 했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 등이 강력히 반대했다.
일본은 그동안도 연구 목적을 명분으로 고래를 잡아왔고, 이렇게 잡은 고래 고기가 시장에 유통됐다. 일본에서 고래 고기는 1960년대에는 연간 20만t가량 소비됐으며 최근에는 연간 수천t이 소비되고 있다.
일본이 연구를 명분으로 잡은 고기를 상업적으로 소비하는 데 대해 국제사회에서는 비판 여론이 많았다. 2006년에는 남극해에서 고래를 잡던 일본 포경선단과 이를 막으려던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선박 간에 충돌 사고가 일어났다. 2014년에는 국제사법재판소(ICJ)가 일본의 고래잡이가 과학적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다면서 포경 중지를 요구하는 판결을 내리기도 했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국제포경위원회 가맹국들을 상대로 로비를 하며 상업 포경 재개를 모색해왔으나 여의치 않자 이례적으로 국제기구 탈퇴로 방향을 튼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 포경 반대 국가인 오스트레일리아는 성명을 내어 “일본이 국제포경위원회에 남을 것을 강하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일본 내에서도 고래잡이는 일본의 전통이라는 의견과 고래잡이를 고집할 이유가 없다는 의견이 엇갈린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