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 교도 로이터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강제징용 피해 배상을 거부하는 일본 기업의 한국 내 자산에 압류 신청이 제기되자 구체적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다시 밝혔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7일 기자회견에서 “한국 쪽 대응을 지켜보면서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 총리 지시에 바탕해 다시 한번 관계 부처에서 협의를 해나가고 있다. 의연한 대응을 위해 구체적 조처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전날 아베 신조 총리는 <엔에이치케이>(NHK) ‘일요 토론’에 출연해 “국제법에 근거해 의연한 행동을 취하기 위해 구체적 조처를 할 것을 관계 부처에 지시했다”고 말했다.
스가 장관은 “일-한 관계에 부정적인 한국 쪽 움직임이 계속되는 것은 매우 유감이다. 일-한 관계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며, 우리 나라의 일관된 입장에 근거해 한국 쪽에 적절한 대응을 요구해나가겠다”고도 말했다.
그러나 스가 장관은 구체적 대응책 내용에 대해서는 “관계 부처에서 협의 중”이라며 밝히지 않았다. 일본이 고려하는 대응책은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에서 합의한 분쟁 해결 절차에 따른 중재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산케이신문>은 “일본 정부 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식처럼 한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올리면 좋겠다는 각료 발언 등이 있다”고 전했다.
스가 장관은 한국 해군의 광개토대왕함이 일본 초계기에 사격 통제용 레이더를 겨냥했는지를 두고 양국이 대립하는 것에는 “양국은 대화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으며, 실무 협의를 하기 위해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