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문희상 국회의장의 일왕 관련 발언에 대해 “많은 국민이 분노하고 있다”며 또다시 비난했다.
아베 총리는 13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문 의장이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일왕이나 총리가 사죄하면 된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에 대해 “많은 국민이 놀랐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문 의장의) 발언은 대단히 부적절하고, 또한 문 의장이 그 이후 같은 취지로 발언을 반복하는 것은 극히 유감이다. 한국 쪽에 외교 경로를 통해 강하게 항의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사죄와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이른바 ‘종군 위안부’ 문제는 일-한 합의로 완전하고 불가역적으로 해결됐다. 일-한 양국이 국가와 국가로서 약속하고 양해한 것이다. 정권이 바뀌었다고 해서 이를 뒤집는다면 국가와 국가 간의 관계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8일 문 의장이 인터뷰에서 아키히토 일왕을 “전쟁범죄 주범의 아들”이라고 칭했고,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해 “일본을 대표하는 총리나 곧 퇴위하는 일왕의 한마디면 된다. 고령이 된 위안부 피해자의 손을 잡고 진정 미안했다고 말하면 그것으로 해결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12일에도 문 의장 발언에 대해 사죄와 철회를 요구했다.
고노 다로 외상은 13일 국회에서 “지금까지 한국에 5차례 정도 항의와 사죄를 요구했으나, 현 시점에서 사죄와 철회에 응하겠다는 반응은 없다”고 말했다.
미국을 방문 중인 문 의장은 사과할 사안이 아니라고 말했다. 문 의장은 12일(현지시각) 워싱턴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나는 평소 그렇게 말해왔고, 10년 전과 바뀐 게 없다”며 “내가 사과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복동 할머니가 원한 건 사과, 아베의 엽서 한 장이라도 보내달라고 했다”며 “그런데 (일본 쪽이) 일말의 사과를 할 여지가 없다고 해서 마무리가 안 된 것”이라고 했다. 또 “(일본 지도자의) 진정 어린 사과”가 필요하다고 다시 강조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