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일본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일본 언론 “졸속 회담”비판…정치권은 ‘안도’

등록 2019-03-01 16:24수정 2019-03-01 19:35

사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이 28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스타그램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제2차 북미회담을 끝내고 밝게 웃으며 악수하는 사진을 게재했다. 연합뉴스
사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이 28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스타그램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제2차 북미회담을 끝내고 밝게 웃으며 악수하는 사진을 게재했다. 연합뉴스
언론 “사전 준비 부족…회담 개최 시기상조”
오노데라 전 방위상 “어중간한 타협보다 낫다”
일본 언론들은 2차 북-미 정상회담이 합의 없이 끝난 것에 대해 사전 준비가 부족한 졸속 회담이었다는 평가를 주로 내놨다. <아사히신문>은 1일 ‘정상에 의지한 타개는 한계’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사전 준비가 잘 안 된 정상외교였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고 평가했다. 이 신문은 ‘실질 교섭을 다시 하라’는 제목의 사설에서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나친 양보를 하지 않은 것은 옳았지만, 그 이전에 양쪽의 (주장) 차이가 너무 컸다. 사전 준비가 부족했던 점은 부정할 수 없다”고 적었다. <요미우리신문>도 사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북-미 정상회담에서 성공을 과시하며 그 이후 실무 교섭이 교착됐어도 낙관적 견해로 일관했다. 북한이 어떻게 나올지 판별하지 못했다”며 “이번 회담은 시기상조였다”고 했다.

일본 정치권에서는 대북 제재가 유지되는 것에 안도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오노데라 이쓰노리 전 방위상은 “어중간한 타협보다 협상을 다시 하는 게 낫다”며 “미국은 북한에 핵·미사일 폐기를 계속 요구하면서 납치(일본인 납북자) 문제 제기를 계속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은 “(북한) 비핵화를 완전히 달성하지 못한 채 제재를 해제하는 가장 좋지 않은 결론으로 끝나지 않은 점은 다행”이라고 말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1일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북한에) 안이한 양보를 하지 않고, 동시에 건설적 논의를 계속해 북한의 구체적 행동을 촉구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을 전면적으로 지지한다”고 말했다. 아베 신조 총리도 전날 같은 입장을 밝혔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