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9년 중-일 전쟁 때 일본군 보고서
피부 짓무르게 하고 호흡기 고통 작용
일본군 내부 상세 보고서 첫 발견
중국 헤이룽장(흑룡강)성 하얼빈에 있던 옛 일본군 관동군 산하 세균전 부대인 제731 부대 유적지의 모습. 일본은 중국에서 독가스 등 생화학무기를 사용했다.
옛 일본군이 중-일 전쟁 중 독가스를 사용했다는 상세한 자체 기록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역사 연구가인 마쓰노 세이야가 일본 육군의 독가스전 부대가 중국 북부 지역에서 피부와 점막을 짓무르게 하는 ’미란제’와 호흡기에 격심한 고통을 주는 ‘재채기제’가 들어간 독가스탄을 사용했다는 내용이 적힌 일본군 보고서인 ‘전투 상보’를 발굴했다고 <교도통신>이 8일 보도했다. 옛 일본군이 중국에서 독가스를 사용했다는 사실 자체는 이미 알려졌지만, 일본군 부대 공식 보고서인 전투 상보에서 상세한 내용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라고 통신은 마쓰노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일본군은 2차대전 패전 때 전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전쟁 관련 기록을 조직적으로 폐기했다.
마쓰노가 찾아낸 기록은 옛 일본 육군 기타시나방면군 소속 독가스전 부대인 ‘박격제5대대’의 전투 상보다. 이 전투 상보에는 중-일 전쟁 발발 2년 뒤인 1939년 7월 산시성 산악지대에서 실시한 작전 상황이 기록돼 있다. 해당 부대는 7월6일 상급 부대의 명령을 받아 중국군 진지를 향해 재채기탄이 들어간 독가스탄 31발을 쐈다. 같은달 18~19일에는 보병을 지원한다며 재채기탄 140발, 미란제가 들어있는 탄 20발을 사용했다는 등의 기록이 있다. 전투 상보에는 “효과 심대(매우 큼)”라는 평가도 적혀 있다. 독가스 사용은 중-일 전쟁 이전부터 일본도 비준한 ‘헤이그 조약’ 등에 의해 사용이 금지된 상태였다.
옛 일본군은 연합군을 상대로는 전장에서는 독가스를 사용하지 않았다. 반격을 우려해서다. 그러나 중국군은 반격 능력이 별로 없다고 보고 독가스 사용을 강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자료는 부대 관계자가 개인적으로 보관하고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마쓰노는 일본 현대사 연구자로 2010년에 메이지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