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토 가쓰노부 일본 후생노동상이 25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도쿄/AFP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코로나19에 대해 중증 환자 치료에 중점을 두고 증상이 별로 없는 경우에는 집에서 요양할 것을 권고하는 기본 방침을 25일 결정했다.
일본 정부는 기본대책을 정하기 위해 24일부터 이틀간 전문가 회의를 연 뒤, 이날 이런 방침을 발표했다. 검역 강화보다는 치료 체제 구축에 중점을 두는 모습이 보인다.
가토 가쓰노부 후생노동상은 25일 기자회견에서 “현재 국내 복수의 지역에 감염 경로가 분명하지 않은 환자가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소규모 집단 감염이 파악된 상태”라며 “바로 지금이 국내에서 건강 피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극히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가토 후생노동상은 “환자 집단 하나가 다음 (환자) 집단을 만드는 것을 방지하겠다. 환자의 증가 속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과 동시에 앞으로 환자 증가에 대비해서 중증 환자 대책을 중심으로 하는 의료 제공 체제 정비를 준비하겠다”고도 말했다.
후생노동성은 구체적으로 △불안하다고 해서 적절한 상담을 받지도 않고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지 말 것 △감염되기 쉬운 환경에 가는 것을 피하기 △손 씻기 등을 철저히 하기 △감기 증상이 있는데도 어쩔 수 없이 외출하는 경우에는 마스크를 착용할 것 등을 요청했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가 치사율이 극히 높은 감염증은 아니지만 계절성 인플루엔자와 비교해 위험성이 있으니, 고령자와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은 중증이 될 확률이 높다고 분석했다.
감염 확대 속도를 늦추기 위해 국민과 기업에 발열 등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외출을 자제해주고 원격 근무와 시차출근 추진을 강력히 요청했다.
정부가 일률적으로 각종 행사 개최 자체를 요청하지는 않았다. 행사 개최 주체인 지역과 기업이 행사 개최를 할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검토해 달라고 하는 데 그쳤다.
아베 신조 총리는 이날 “환자 증가 속도를 가능한 억제하고 국내 유행을 막는 게 중요하다. 지자체와 의료기관 등 관계자와 연계해 필요한 의료제공 체제를 확실히 정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