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을 방문한 라파엘 마리아노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후쿠시마현 후타바군에 있는 후쿠시마제1원전을 둘러보고 있다. 교도 연합뉴스
일본을 방문 중인 라파엘 마리아노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후쿠시마 제1원전(이하 후쿠시마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방안에 대해 “기술적 관점에서 볼 때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라파엘 사무총장의 말은 사실상 일본 정부 방안을 지지하는 발언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26일 후쿠시마원전 시찰 뒤 기자들에게 일본 정부가 계획하는 오염수 정화 뒤 태평양 방류 방안에 대해 “세계 원전에서 비상사태뿐 아니라 일상적으로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들이 전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25일에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상을 만났으며 28일 일본을 떠날 예정이다.
2011년 방사성 물질 누출 사고가 일어난 후쿠시마원전에서는 지금도 폭발사고가 일어난 원자로 건물에 빗물과 지하수가 유입돼 오염수가 생성되고 있다. 후쿠시마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이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장치(ALPS·알프스)라고 불리는 장치를 통해 물과 비슷한 성질의 삼중수소를 제외한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도쿄전력은 오염수를 원전 부지 내에 만든 탱크에 현재 118만t 가량 보관하고 있는데, 2022년 여름이 되면 탱크가 가득 차서 처리 방법을 곧 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본 경제산업성 내에 설치돼 오염수 처리 대책을 논의하는 전문가 소위원회(소위)는 최근 후쿠시마원전 오염수를 처리하는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바다 방류 △증발시켜 대기에 방출 등의 방안을 제시했는데, 이를 통해 사실상 태평양 방류 쪽으로 분위기를 잡아가고 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오염수 처리 방법과 관련해 “결정은 일본 정부가 한다”고 강조하면서, 바다 방류 안에 대한 직접적 지지 언급은 피했다. 그러나, 일본 전문가 소위원회 보고서에 대해 “국제원자력기구는 일본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한 결정에 다가서고 있는 점을 환영한다”며 “결정이 내려지면 국제원자력기구는 실행을 도울 준비가 돼있다. 예를 들면 방사능 (오염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어떤 방식으로 물을 방출하든지 국제적 기준에 부합할 것이라고 일본이나 다른 곳의 대중을 안심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고도 말했다.
일본 정부는 최근 오염수 해양 방류를 추진하기 위한 여론전을 강화하고 있다. 오염수는 알프스 정화를 거쳤다며 ‘처리수’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지난 2018년 후쿠시마 오염수 가운데 알프스 정화 작업이 끝난 89만t(총 95만t)을 조사해 보니, 80%가 넘는 75만t이 여전히 배출 기준치를 넘는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었던 사실이 드러난 바 있다. 일본 정부는 이에 대해 재정화 작업을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재정화에 대한 구체적 계획은 아직 없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