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일본 도쿄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쓴 채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도쿄/AP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긴급사태를 선언한 지 이틀이 지났지만, 중앙정부와 지자체 및 보건당국 간 불협화음이 그치지 않고 있다.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재생상이 8일 도쿄도 등 7개 긴급사태 대상 지역 광역지방자치단체장에게 다중이용시설 휴업 요청을 2주간 미뤄달라고 요청했다고 <도쿄신문>이 9일 보도했다. 긴급사태 발효 뒤 대상 지자체장은 백화점·영화관 등 다중이용시설에 휴업을 요청할 수 있다.
아베 신조 총리는 7일 긴급사태를 선언하면서 “사람 간 접촉을 최대 80% 줄이면 2주 뒤에는 감염자 증가가 정점을 찍고 감소로 전환될 수 있다”고 밝혔다. 니시무라 경제재생상이 7개 지자체에 휴업 요청 연기를 타진한 것도 우선 ‘외출 자제 요청’의 효과를 지켜본 뒤 휴업 여부를 판단하자는 뜻으로 풀이된다. 외출 자제 요청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아베 정부의 인식을 드러낸 발언이다.
긴급사태가 선포된 7개 지역 지자체장들의 입장은 각자 형편에 따라 다르다. 도쿄도는 중앙정부와 ‘엇박자’라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10일 휴업 요청 대상을 확정할 방침이다. 반면 나머지 6곳의 지사들은 당분간 휴업 요청을 할 계획이 없다. 도쿄도를 제외한 다른 지자체는 휴업 업체들에 재정적 보상과 지원을 해줄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한편 <마이니치신문>이 전국 유권자 1144명(응답자)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긴급사태 선언이 “너무 늦었다”고 답한 응답자가 7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내 확진자 수는 긴급사태 선언 다음날인 8일에도 하루 최대인 512명이 증가했다. 9일에는 도쿄에서 또다시 하루 최대인 18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여론 악화와 확진자 증가에 다급해진 아베 정부는 신종인플루엔자 치료약 ‘아비간’에 대해 코로나19 치료약 승인 절차를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담당 부처인 후생노동성은 부작용을 우려해 신중한 태도라고 <요미우리신문>이 전했다. 후생노동성은 그동안 “의사의 진단이 중요하다”며 부정적이었던 ‘드라이브스루’ 검사를 검토하고 있다고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이 전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