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26일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 사고가 났던 후쿠시마 제1원전을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후쿠시마/교도 연합뉴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에 대해 “가능한 한 빨리, 정부가 책임지고 처분 방침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자국내 여론의 반대에도 오염수 바다 방류를 강행하리라는 전망이 나온다.
스가 총리가 취임 뒤 첫 지방 출장지로 26일 후쿠시마를 방문해 도쿄전력 관계자에게 “착실하게 준비해달라”고 당부하며, 처리 방침을 조속히 결정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아사히신문>이 27일 보도했다. 시찰 과정에서 도쿄전력 직원이 스가 총리에게 오염수를 건네며 ‘물로 희석하면 마실 수도 있다’고 설명하자 “마셔도 돼요?”라고 되묻기도 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 사고가 났던 후쿠시마 1원전은 가동이 중단된 채 9년 넘게 폐로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핵연료 냉각수와 원전 건물에 스며든 지하수와 빗물 등 오염수가 계속 늘고 있다. 2022년 여름이 되면 지상에서 오염수를 보관하던 탱크가 부족해져 향후 처리 방법을 놓고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물로 희석해 30년에 걸쳐 바다에 흘려보내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문제는 일본이 내세운 ‘다핵종 제거 설비’(ALPS·알프스)로 1차 정화한 물의 80%에서 기준치 이상의 방사성 물질이 나왔다는 점이다. 일본 정부는 1차 정화수를 다시 정화해 방류하겠다는 계획이지만, 2차 정화로 방사성 물질이 제거되는지는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후쿠시마 마을 대표, 관련 단체, 일반 시민 등도 바다 방류를 우려하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 정부도 지난 22일 국제원자력기구(IAEA) 총회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과 관련해 “환경적 안전성에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우려와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입장을 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