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명 센카쿠 열도, 중국명 댜오위다오, 대만명 댜오위타이 열도. 로이터 연합뉴스
일본 정부는 중국과의 영유권 분쟁 지역인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의 생태조사를 앞당겨 올해 실시하기로 방침을 굳혔다고 <산케이신문>이 15일 보도했다. 이 지역에서 중국과 갈등이 잦아지자, 일본이 실효지배를 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하기 위한 목적인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 환경성은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된 조류의 번식 실태를 파악하고, 2015년 만든 식물 지도를 수정 보완하기 위해 센카쿠 열도 동식물 생태조사를 올해 실시할 예정이다. 식물 군락의 분포를 보여주는 식물 지도는 통상 10∼20년 주기로 보완하지만 이번에 시기를 상당히 앞당겨 조사에 나서는 셈이다. 센카쿠 열도는 일본 오키나와에서 서남쪽으로 약 410㎞, 중국 동쪽으로 약 330㎞ 떨어진 동중국해상의 8개 무인도다. 일본이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행정구역상 ‘이시가키시’로 분류하고 있다.
<산케이신문>은 일본 정부가 영해로 규정한 센카쿠 열도 인근 수역에 최근 중국 선박의 진입이 잦아져 갈등이 생기자 일본이 센카쿠 열도를 실효 지배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하기 위해 서둘러 조사에 나서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실제 일본 정부는 “지난 11~13일 센카쿠 영해에 중국 공선(국가가 관리하는 선박) 2척이 들어와 57시간 39분 동안 머물렀다”고 이날 발표했다. 2012년 이후 가장 긴 시간이고, 스가 요시히데 정부가 출범한 뒤 처음이다. <요미우리신문>은 정부 고위 관계자 말을 인용해 “중국이 스가 총리의 태도를 살폈지만 이전 정권과 다를 게 없다고 판단해 도발 행위를 다시 시작한 것”이라고 전했다.
생태조사는 현지 방문이 아닌 간접적인 방식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센카쿠 열도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원칙적으로 상륙을 인정하지 않고 있어 인공위성에서 촬영한 고해상도 사진이 이번 조사에서 처음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