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AF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이 다음달 9일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스가 총리는 올 1월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대면 회담을 하는 첫 외국 정상이 된다.
<요미우리신문>은 미‧일 정상의 대면 회담이 다음달 9일(미국시각)로 조율되고 있다고 14일 보도했다. 스가 총리는 8일 일본을 출발해 9일 워싱턴에서 미‧일 정상회담을 한 뒤 10일 바로 귀국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예방 차원에서 체류 기간을 짧게 하고,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상도 동행하지 않는 등 방미 인원도 최소화하기로 했다.
정상회담에선 미‧일 동맹을 한층 강화하는 동시에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전략의 협력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탈탄소 등 기후문제도 주요 의제로 거론될 예정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정상회담 순서는 양국 관계를 반영하는 지표”라며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에 대항하기 위해 동아시아의 주요국이자 동맹국인 일본과의 협력 강화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도 바이든 대통령의 당선이 확실시 됐던 지난해 11월부터 스가 총리의 미국 방문을 계속 타진해왔다. 일본은 미‧일 동맹의 확고함을 국내외에 보여주며,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에서 맞서고 있는 중국과 핵미사일을 개발하는 북한의 움직임을 억제시키겠다는 목적을 갖고 있다.
미‧중 고위급 회담(18~19일)과 미‧일 정상회담에 앞서 오는 16일 도쿄에서 개최되는 미-일 외교‧국방(2+2) 장관 회의도 주목을 받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동맹과 함께 중국을 향해 던지는 직접적인 메시지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도쿄에서 이뤄진 미-일 합의가 17~18일 예정된 한-미 외교‧국방(2+2) 장관 회의에 어떤 영향을 줄지도 관심사다.
미-일 외교‧국방(2+2) 장관 회의에서는 동‧남중국해에서 현상 변경을 시도하는 중국을 직접 비판하는 내용의 공동 합의문이 나올 것으로 알려졌다.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합의문엔 센카쿠 열도 주변에서 해경 선박의 영해 침입을 되풀이하는 중국을 비판하면서 (센카쿠 문제가) 미국의 대일 방위 의무를 정한 ‘미·일 안전보장조약 제5조’에 적용된다는 것을 명기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가 해경의 무기 사용을 허용하는 ‘해경법’을 시행한 것에 대해서도 심각한 우려를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신문은 “양국 정부가 합의문에서 ‘중국’이라는 나라 이름을 거론하며 견제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미국, 일본, 인도, 오스트레일리아(호주) 4개국 협의체인 ‘쿼드’가 지난 12일 화상으로 첫 정상회의를 열고 중국을 견제하는 내용의 합의를 했지만, 공동성명에서 중국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한편 <요미우리신문>은 ‘쿼드’ 4개국과 프랑스가 4월 초중순 인도와 미얀마 사이에 있는 바다인 벵골만에서 처음으로 5개국 해상 공동 훈련을 실시하는 방안이 최종 조정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쿼드’ 국가들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유럽 주요국과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해왔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