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후쿠시마원전) 부지에 보관 중인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문제를 놓고 한일 양국이 협의체를 만들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아사히신문>은 “한국 정부가 (후쿠시마원전 오염수에 대해) 새로운 양자협의 개최를 타진해 일본 쪽이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16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한국 정부가 외교 당국뿐만 아니라 전문가적 시각으로 안전성에 대해 의견 교환이 필요한 만큼, 협의체 구성을 타진해 왔다고 밝혔다. 이에 일본 정부는 한국 쪽의 공식 요청이 있으면 수용하겠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원전 폐로 업무를 관장하는 경제산업성 산하 자원에너지청, 규제 당국인 원자력규제청, 후쿠시마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 등이 협의체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한국 외교부는 후쿠시마원전 오염수 바다 방류에 대해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통한 검증 과정과 별도로 우리 입장 전달과 추가 정보 제공을 위한 양자 협의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한 양자협의 개최 방안 등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13일 관계 각료회의를 열어 후쿠시마원전 물탱크에 보관 중인 방사성 물질 오염수(약 125만톤)의 방사성 물질 농도를 ‘다핵종 제거 설비’(ALPS)로 정화해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춘 뒤, 2년 뒤부터 장기간(약 30년)에 걸쳐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