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오후 광주 남구 양림동 정율성거리에서 열린 대한민국전몰군경유족회·미망인회의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사업’ 철회 촉구 집회에서 회원들이 정율성 흉상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왜냐면] 박은식 | 호남대안포럼 공동대표
배훈천 광주시민회의 대표는
‘기획의 냄새 진동하는 정율성 역사공원 논란’이라는 칼럼을 지난 12일치 한겨레에 기고했다. 이 기고문은 중대한 오류와 악의적 왜곡의 내용으로 점철돼 있다. 이에 호남대안포럼 채명희 상임대표를 비롯한 회원들의 의견을 모아 오류와 왜곡을 바로잡고자 한다.
배훈천 대표는 지난달 23일 호남대안포럼이 발표한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철회’ 성명서가 단 하루 만에 일사천리로 진행됐다며, 이를 기획으로 몰아갔다. 그러나 호남대안포럼은 2021년 11월9일 당시 윤석열 대통령 후보의 5·18 묘역 참배가 당시 일부 시민단체의 반대로 무산됐을 때도, 단 하루 만에 이를 비판하는 성명서를 발표한 적이 있다.
배훈천 대표는 성명서 발표 결정 과정에서 여당의 실세 의원 관계자가 제안하고 독촉해 동의를 이끌어냈다고 했다. 그러나 정율성 이슈는 이미 보수진영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논란이 돼왔다. 호남대안포럼에서도 1년 전 이 이슈에 대해 성명을 발표하려다 일부 회원들의 반대로 무산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몇몇 회원들은 개별적으로 장외 홍보와 일간지·인터넷 칼럼을 통해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반대’ 의견을 표명해왔다. 그만큼 갑작스럽게 기획한 것이 아닌 오래 전부터 논의한 사항이었다는 말이다.
그러다 지난달 22일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이 기념공원 조성에 대해 반대의견을 페이스북에 밝혔고, 이에 강기정 광주시장이 반론을 제기하면서 정율성은 전국적 이슈가 됐다. 호남대안포럼은 호남을 기반으로 하는 단체이니만큼, 여기에 입장 표명을 해야 한다는 의견을 여러 회원이 개진했다.
대안포럼 공동대표단은 운영위원 중 한 명에게 성명서 초안 작성을 의뢰했다. 이 운영위원이 2020년 단체 출범 시기부터 창립선언문을 작성하는 등 대외 메시지를 담당해왔기 때문에 부탁했던 것이다. 성명서 초안은 회원들의 의견을 수렴해 최종안이 됐고, 성명서 발표 역시 회원 과반 이상의 찬성을 받아 발표를 결정했다. 철저히 민주적 절차를 지켜 진행했다.
지난달 23일 오후 5시20분께 공동대표 중 한 사람은 성명서를 조선·중앙·동아·한국일보 등 여러 언론사에 보냈는데, 이를 곧바로 게재한 언론사는 조선일보밖에 없었다. 성명문에 함께 이름을 내기로 했던 ‘사회정의를 바라는 전국 교수 모임’(정교모) 호남지부가 빠졌다는 회원들의 의견을 듣고 공동 참여단체 이름만 수정해서 다시 조선일보쪽에 보냈을 뿐 성명문을 내기도 전에 기획해 움직인 것이 전혀 아니었다.
무엇보다 호남대안포럼은 정부 및 정당으로부터 지원금을 단 한 푼도 받지 않고, 순수하게 회원들의 회비로 운영해왔다. 또한 회원 중에는 국민의힘, 국민의당, 민생당, 무당층 등 출신도 다양하다. 그동안 강연 역시 양향자 의원 등 국민의힘에 비판적인 인사를 초빙한 적도 있다. 우리 단체가 특정 정당의 기획대로 움직일 필요가 전혀 없는 것이다.
배훈천 대표는 본인이 소수 의견을 제시했다는 이유로 제명당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정치적 지향점이 달라 제명된 것이 아니라 여러 회원에게 모욕적인 표현을 해 윤리위 결정을 거쳐 운영위원 단 한 명의 반대도 없이 제명한 것이다. 이 정도면 자신의 언사를 먼저 돌아봐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