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연한 봄이다. 자전거 타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는 때이다. 현재 우리나라 자전거 인구는 1천만명이 넘는다. 앞으로도 늘어날 추세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자전거 사고도 늘어나고 있다. 전체적인 교통사고는 줄어들고 있는데 자전거 사고는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도로교통공단이 최근 4년간 자전거 교통사고 건수를 조사한 결과 1만1259건(2010년), 1만2121건(2011년), 1만2908건(2012년), 1만3316건(2014년)으로 나타났다.
자전거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자전거 타는 사람들에게 최소한 자전거 안전교육을 받도록 중앙정부나 지자체에서 홍보하고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많이 열어야 한다. 자전거도 엄연히 도로교통법상 ‘차’로 규정되고 있다.(<도로교통법> 2조17) 하지만 자전거 운전자는 면허증은커녕 안전교육조차 받지 않아도 되는 것처럼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안일한 태도가 자전거 사고를 높이고 있다. 환경부나 서울시를 비롯한 일부 지자체에서 시민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안전교육이 이뤄지고는 있지만 턱없이 부족하다.
현재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21조에도 “①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장은 <초·중등교육법>에서 정하는 범위에서 자전거 이용과 관련된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②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주민에 대하여 자전거 이용과 관련한 교통안전교육 등을 실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자전거는 누구나 일생에 한번쯤은 접하게 되며 타보기 마련이다. 때문에 초·중·고교에서는 자전거 안전에 관한 교육은 필수적으로 이행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교육을 마친 학생들에게는 이수증을 주어 긍지를 주는 일도 필요하며, 이수증을 소지한 학생들에게는 공공자전거 이용 때 할인 등 인센티브제 등을 도입한다면 교육 참여도 늘어날 것으로 생각한다. 자전거 문화는 세계적으로 지구 살리기 운동의 일환으로 전개되고 확산되고 있는 전지구적 운동이다. 아무쪼록 자전거에 대한 이해와 안전교육이 강화되고 확산되어 자전거로 인해 우리 국민이 건강하고 행복해졌으면 좋겠다.
정호성 사단법인 <사랑의 자전거> 대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