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다지
민족광장 상임의장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해체 목소리가 높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전경련 해체 촉구 결의안을 발의한 데 이어 경제학자 등 전문가 312명도 해체를 요구하고 나섰다. 미르와 케이(K)스포츠 재단 설립에 얽혀 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는 전경련에 대한 해체 촉구 요구가 이해되고도 남는다. 전경련은 과거에도 ‘차떼기 정치자금 헌납’으로 물의를 일으킨 전력이 있는 터라, 세간에서 자연스럽게 해체 이야기가 나오는 상황까지 온 것이다. 지난해 7월 전경련이 서울과 평양에 남북 경제단체 연락사무소를 설치하자는 제안을 내면서 크게 환영받았던 일이 멀게만 느껴진다. 전경련은 이제 해체의 길로 들어서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은 없는 것일까? 전경련이 이번에 미르와 케이스포츠 재단 설립과 관련해서 한 일을 생각하면 국민들로부터 버림받아 마땅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필자는 마지막 하나의 길이 남아 있다고 생각한다. 전경련이 인적쇄신과 조직쇄신을 철저히 하면서 ‘모든 정치적 연관고리들을 다 끊겠다’는 철저한 자기혁신 선언을 한 뒤, 지난해 7월 제시했던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활동을 적극적으로 벌여나가는 것이다. 필자는 전경련의 남북 연락사무소 설치 제안과 관련해서 지난해 9월3일 “전경련, 남북사무소 적극 추진을”이라는 제목의 글을 한겨레에 기고한 바 있다. 거기에서 필자는 전경련의 그 제안이 5·24 조치를 철회하고 국가보안법을 없애라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그때 전경련은 북한 기업 살리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북한 산업 기술 인력을 양성하며, 북-중 접경지역 개발에 남쪽 기업이 참여하는 등 동북아 다자 경제협력 사업을 벌이자는 등 7가지 남북상생 사업을 제시했다. 필자는 그때 ‘한국이라는 정치 현실에서 이보다 더 진보적인 목소리가 또 있을까’라고 생각했다. 전경련의 이 제안은 ‘남북 상생 경제 개발을 위해서라면 국가보안법도 없었으면 좋겠다’, ‘5·24 조치도 저리 갔으면 좋겠다’, 심지어 ‘한-미 동맹도 그리 달갑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제 대기업들조차도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남북 상생 경제에서 찾으려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 당시를 되짚어보면 전경련은 보수의 자기 기반을 확장하기 위해서 보수를 강화하는 것이 아닌 진보의 영역, 즉 남북 상생의 영역을 넘보았던 것이다. 하지만 1년이 조금 지난 지금 보이는 전경련의 모습은 보수의 악취가 진동하는 모습이다. 어떤 것이 진짜 전경련의 모습일까. 어쩌면 두가지 모두 전경련의 모습일지도 모른다. 과연 그 악취를 제거하면서도 그 진보성의 싹을 살리는 방법은 없을까. 출발은 전경련 스스로가 나서서 해야 한다. 전경련이 환골탈태의 심정으로 자신의 악취 나는 부분을 제대로 도려내야만, 새로운 싹에 대해서도 국민들이 눈길을 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민족광장 상임의장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해체 목소리가 높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전경련 해체 촉구 결의안을 발의한 데 이어 경제학자 등 전문가 312명도 해체를 요구하고 나섰다. 미르와 케이(K)스포츠 재단 설립에 얽혀 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는 전경련에 대한 해체 촉구 요구가 이해되고도 남는다. 전경련은 과거에도 ‘차떼기 정치자금 헌납’으로 물의를 일으킨 전력이 있는 터라, 세간에서 자연스럽게 해체 이야기가 나오는 상황까지 온 것이다. 지난해 7월 전경련이 서울과 평양에 남북 경제단체 연락사무소를 설치하자는 제안을 내면서 크게 환영받았던 일이 멀게만 느껴진다. 전경련은 이제 해체의 길로 들어서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은 없는 것일까? 전경련이 이번에 미르와 케이스포츠 재단 설립과 관련해서 한 일을 생각하면 국민들로부터 버림받아 마땅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필자는 마지막 하나의 길이 남아 있다고 생각한다. 전경련이 인적쇄신과 조직쇄신을 철저히 하면서 ‘모든 정치적 연관고리들을 다 끊겠다’는 철저한 자기혁신 선언을 한 뒤, 지난해 7월 제시했던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활동을 적극적으로 벌여나가는 것이다. 필자는 전경련의 남북 연락사무소 설치 제안과 관련해서 지난해 9월3일 “전경련, 남북사무소 적극 추진을”이라는 제목의 글을 한겨레에 기고한 바 있다. 거기에서 필자는 전경련의 그 제안이 5·24 조치를 철회하고 국가보안법을 없애라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그때 전경련은 북한 기업 살리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북한 산업 기술 인력을 양성하며, 북-중 접경지역 개발에 남쪽 기업이 참여하는 등 동북아 다자 경제협력 사업을 벌이자는 등 7가지 남북상생 사업을 제시했다. 필자는 그때 ‘한국이라는 정치 현실에서 이보다 더 진보적인 목소리가 또 있을까’라고 생각했다. 전경련의 이 제안은 ‘남북 상생 경제 개발을 위해서라면 국가보안법도 없었으면 좋겠다’, ‘5·24 조치도 저리 갔으면 좋겠다’, 심지어 ‘한-미 동맹도 그리 달갑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제 대기업들조차도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남북 상생 경제에서 찾으려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 당시를 되짚어보면 전경련은 보수의 자기 기반을 확장하기 위해서 보수를 강화하는 것이 아닌 진보의 영역, 즉 남북 상생의 영역을 넘보았던 것이다. 하지만 1년이 조금 지난 지금 보이는 전경련의 모습은 보수의 악취가 진동하는 모습이다. 어떤 것이 진짜 전경련의 모습일까. 어쩌면 두가지 모두 전경련의 모습일지도 모른다. 과연 그 악취를 제거하면서도 그 진보성의 싹을 살리는 방법은 없을까. 출발은 전경련 스스로가 나서서 해야 한다. 전경련이 환골탈태의 심정으로 자신의 악취 나는 부분을 제대로 도려내야만, 새로운 싹에 대해서도 국민들이 눈길을 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