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적절한 광고 될수록 자제할 터
시민편집인실은 독자의 목소리에 늘 귀기울이고 있습니다. 언제라도 시민편집인실(publiceditor@hani.co.k, 02-710-0698)의 문을 두드리십시오. 여러분의 입과 손발이 되겠습니다.
<한겨레> 독자들은 기사뿐 아니라 광고도 큰 관심을 가지고 본다. 지난 1월 말 시민편집인실이 만들어진 이후 광고에 대한 의견들도 적지 않게 들어 왔다. 주로 “한겨레라면 광고도 달라야 하지 않겠느냐”는 지적들이 많았다.
독자 김유철 님은 1월26일치 3면에 실린 ‘가장 많이, 가장 빨리, 합법적으로 돈 버는 아주 간단한 공식’이라는 카피의 책 광고와, 같은 날 25면에 실린 ‘평범한 우리 아이도 1등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책! 조선일보 교육섹션 노하우 총망라’라는 카피의 책 광고에 대해 문제 제기를 했다. “한겨레의 논조와 이율배반적이며, 특히 ‘1등 교육’을 광고하는 것은 한겨레가 지향하는 교육관과도 다르다”는 지적이었다.
베트남 여성 비하 광고 질타
또 박재근 독자는 3월14일치 9면에 실린 ‘준비된 베트남 신부 마음만 먹으면 가능합니다!’라는 문구의 ‘베트남 여성과 맞선 보기 행사’ 광고에 대해 “한겨레가 제2 창간을 선언하고 ‘초심’을 강조하고 있는 이 때, 경제적 이유로 신념을 버려서는 안 된다”고 충고했다. 이 광고엔 ‘베트남 여성이 일부종사를 철칙으로 알고 헌신적으로 남편을 섬긴다’ ‘혈통이 우리와 비슷하다’ ‘베트남은 신부 수가 아주 많아 18~25세 혼기를 놓치면 평생을 혼자 산다’는 등의 성·인종 차별적 내용들이 담겨 있었다.
이윤수 님은 2월20일치 11면에 옷을 벗은 여성의 뒷 모습을 배경으로 한 건강식품 광고에 대해 “한겨레가 광고를 편집할 수는 없을 테고 또 광고가 있어야 한겨레의 발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좋은 기사 아래 이런 광고가 실리는 것을 보면 씁쓸하다”고 지적했다. 또 강태구 님은 3월7일치 13면에 실린 당뇨병 한방 치료제 광고에 대해 “광고를 보면 환자 90여명 가운데 95%에서 효과가 나타났다고 하는데, 이 광고 내용을 믿어도 되는지 알고 싶다”고 물어 왔다.
한겨레신문사에서 광고 게재 여부는 일차적으로 광고국이 결정한다. 광고국의 기본 원칙은 명백한 허위·과장 광고나 사회 통념상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도덕한 광고가 아니라면 일단 광고를 실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물론 사후에 독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광고로 드러나면, 그때 게재를 거부한다.
이런 원칙은 광고주도 한겨레신문사의 고객으로서 존중받아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또 속성상 다소 과장되기 마련인 광고의 진위 여부를 신문사가 사전에 일일이 확인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어느 언론사 하나 예외 없이 광고가 언론사 수입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현실에서, 자사의 논조나 편집 방향과 맞는 광고만 가려 싣는다면 언론사의 존립 자체가 어렵다는 것도 한 이유다. 유상진 한겨레신문사 광고기획팀장은 “한겨레가 정론직필의 정신을 이어가기 위해서도 기본적으로 광고 수입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독자들이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다만 광고국은 베트남 여성과의 맞선 행사 같은 광고들은 앞으로 될수록 싣지 않겠다고 밝혔다. 광고 외에 편집 방향에 대한 독자들의 의견으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된 것들이 많았다. 한겨레는 여론면에 새로운 형식인 ‘연속 기고’를 신설하는 등 한-미 자유무역협정을 충실히 다루려고 나름대로 애쓰고 있으나, 독자들의 기대엔 못미치는 것 같다. 독자 김시열 님은 “‘박찬욱·최민식 도전 인터뷰’(3월8일치 8면)를 찬찬히 읽어보니 영화계가 느끼는 위기감을 한층 깊게 이해할 수 있었다”며 “다만 ‘스타’만 말고 피해를 보는 또다른 계층인 ‘농민’에게도 이런 지면을 내줬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독자제보, 기사로 반영돼 시민편집인실로 들어온 제보들도 지면에 실리기 시작했다. 강남대의 한 학생 등이 제보한 ‘강남대의 이찬수 교수 재임용 거부’는 사실 확인 취재를 거쳐 3월8월치에 기사화했다. 한겨레는 “개신교 사학인 강남대가 목사이면서도 불교 등 다른 종교와의 대화와 이해를 교육해 온 이 교수를 재임용에서 탈락시킨 것은 학자의 학문적 소신을 위축시키고 학생들에게 특정 이념만을 강요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비판했다. 안재승 편집기획팀장 jsahn@hani.co.kr
이런 원칙은 광고주도 한겨레신문사의 고객으로서 존중받아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또 속성상 다소 과장되기 마련인 광고의 진위 여부를 신문사가 사전에 일일이 확인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어느 언론사 하나 예외 없이 광고가 언론사 수입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현실에서, 자사의 논조나 편집 방향과 맞는 광고만 가려 싣는다면 언론사의 존립 자체가 어렵다는 것도 한 이유다. 유상진 한겨레신문사 광고기획팀장은 “한겨레가 정론직필의 정신을 이어가기 위해서도 기본적으로 광고 수입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독자들이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다만 광고국은 베트남 여성과의 맞선 행사 같은 광고들은 앞으로 될수록 싣지 않겠다고 밝혔다. 광고 외에 편집 방향에 대한 독자들의 의견으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된 것들이 많았다. 한겨레는 여론면에 새로운 형식인 ‘연속 기고’를 신설하는 등 한-미 자유무역협정을 충실히 다루려고 나름대로 애쓰고 있으나, 독자들의 기대엔 못미치는 것 같다. 독자 김시열 님은 “‘박찬욱·최민식 도전 인터뷰’(3월8일치 8면)를 찬찬히 읽어보니 영화계가 느끼는 위기감을 한층 깊게 이해할 수 있었다”며 “다만 ‘스타’만 말고 피해를 보는 또다른 계층인 ‘농민’에게도 이런 지면을 내줬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독자제보, 기사로 반영돼 시민편집인실로 들어온 제보들도 지면에 실리기 시작했다. 강남대의 한 학생 등이 제보한 ‘강남대의 이찬수 교수 재임용 거부’는 사실 확인 취재를 거쳐 3월8월치에 기사화했다. 한겨레는 “개신교 사학인 강남대가 목사이면서도 불교 등 다른 종교와의 대화와 이해를 교육해 온 이 교수를 재임용에서 탈락시킨 것은 학자의 학문적 소신을 위축시키고 학생들에게 특정 이념만을 강요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비판했다. 안재승 편집기획팀장 js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