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봉/문학전문기자
편집국에서
“동전도/ 돈이지만/ 또한 돈일 수 없지만/ 원효교 난간 위로/ 해는 떨어지고,/ 강건너/ 비행장에/ 불을 켠 채 착륙하는 밤비행기./ 나의/ 하루의/ 공허한/ 귀환을,/ 동전도/ 돈이지만/ 또한 돈일 수 없지만/ 발길에 채어/ 어둠 속으로/ 땡그르르 굴러가는/ 1966년 12월 1일/ 내 생애의 동전 한닢.”(박목월 <일일> 전문)
12월1일. 마지막 달의 첫날이다. 40년 전 목월이 노래한 대로 ‘생애의 동전 한닢’에 지나지 않는 하찮은 날일 수도 있지만, 오늘은 여느 날과는 다른 각별한 감회를 자아낸다. 마지막과 처음이 어우러져 긴장과 이완을 아울러 선사하는 까닭이다.
문단 역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준비하느라 분주하다. 출판사와 잡지 별로 송년회가 줄을 잇고 각종 문학상 시상식도 이즈음에 집중되어 있다. 나라 밖에서는 저 유명한 노벨문학상 시상식이 12월10일에 열린다. 문학 지망생들에게 이 무렵은 신춘문예에 응모하고자 골방에서 원고지나 컴퓨터 자판과 씨름해야 하는 철이다. 그들은 문학상 시상식 소식을 접하면서 언젠가 자신이 그 화려한 자리의 주인공이 되리라는 은밀한 기대를 키우고 있을 것이다.
문학상 시상식 자리는 풍성하고 따뜻하다. 수상자는 행운에 감사하며 겸손한 어조로 문학적 포부를 밝힌다. 문단 동료와 선후배로 이루어진 손님들은 축하와 격려의 말을 아끼지 않는다. 사진기의 플래시가 펑펑 터지고 그에 질세라 수상자와 축하객들의 웃음소리도 반 옥타브쯤 올라간다. 공식 행사가 끝나면 일행은 예약해 둔 술집으로 우루루 몰려간다. ‘진짜’ 축하를 하려는 것이다. 아예 술청 전체를 세내서는 먹고 마시며 떠들고 노래 부른다. 때로 술이 과해서 울거나 싸우는 이도 없지 않지만, 문인 특유의 인정과 낭만으로 작은 소동쯤은 넉넉히 감싸안는다.
문화의 다른 부문과 비교해 보아도 문학상은 종류도 많고 상금도 풍성하다. 지역 단위에서 시상하는 작은 규모의 상들까지 포함하면 현재 이 나라에는 몇백 개의 문학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평균으로 따지자면 적어도 하루에 하나 꼴은 되지 않을까. 문학상이 많다는 것은 문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그만큼 크다는 증거일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그 많은 문학상이 해마다 수상자와 수상작을 내고 있다면, 한국문학은 나날이 풍요로워지고 있지 않겠는가.(금전적으로가 아니라 문학적 성과에서 말이다.)
그렇지만 문학담당 기자로서 현장에서 느끼는 실감은 그런 추측과는 거리가 멀다.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 정도는 문화면 머릿기사로 다룰 만한 시나 소설이 나와 주어야 하는데, 그만한 작품이 눈에 뜨이지 않아 머리를 쥐어뜯으며 고민하기 일쑤인 것이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이육사 <절정>) ‘그 많던 문학상 수상자와 수상작은 어디로 간 것일까.’(박완서).
문학 전문지 <현대문학> 12월호의 특집 ‘문학과 돈’에서 그 의문에 대한 답의 일단을 얻을 수 있을 듯하다. 나 자신 그 특집의 필자로 참여한 처지라 다소 민망하기는 하지만, 특집의 또다른 필자 역시 “돈은 문학 생산 현장에서 대체로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들어 ‘금전망자(金錢亡者)와 벼슬지상’(천상병)의 문단 풍토를 꾸짖고 있었다. 문학상의 영광과 상금이라는 금전적 보상이 반드시 작품 창작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이즈음 하루가 바쁘게 이어지는 문학상 시상식에 입회하면서 때로 마음 한켠이 불편했던 까닭이 분명해진 느낌이다. 문단의 한 해 소출을 결산하고 이듬해의 풍작을 염원하는 문학상 시상식이 마음에서 우러난 축하와 격려의 자리로 바로 설 수 있기를 바란다.
최재봉/문학전문기자
bong@hani.co.kr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