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비비케이(BBK) 사건 수사결과 발표를 하루 앞둔 지난 4일 오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유리창에 태극기와 검찰 깃발이 비쳐 보이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한겨레> 보도 경위와 입장
특별취재팀, 국내 소재 ‘사과상자 3통’ 분량자료 입수
다스 실소유주 ‘의혹’ 여전…진실은 언제쯤 드러날까 검찰의 비비케이(BBK) 사건 수사 결과 발표 직후 <인터넷 한겨레>에 많은 분들이 글을 올렸더군요. “한겨레 양심 있으면 폐간해라”(msk266)는 비난에서부터 “비비케이에 함구하던 신문들이 모두 ‘무혐의’라고 대문짝만하게 기사를 내보냈더라. 그래도 한겨레는 잠잠하지 말아라. 그대들이 옳았으니까”(blow228)라는 격려까지 다양했습니다. 수사팀의 한 검사는 <한겨레> 기자에게 “미친 X에 물렸다고 생각하라”는 위로 아닌 위로도 했다더군요. 돌이켜 보면, 이번 사건에서는 이명박 후보가 △주가조작과 횡령 △비비케이의 실소유 △㈜다스의 실소유와 관련이 있느냐가 최대 관심사였습니다. 애초 이 후보가 주가조작을 직접 했다고 보기는 어려웠고, 사실상 비비케이와 다스의 실소유주 문제가 핵심이었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한겨레의 보도 경위와 현재의 입장에 대해 설명드리는 게 도리인 듯합니다. 이 사건을 담당하는 특별취재팀은 취재 도중 어렵사리 사과상자 세 통 분량의 ‘자료’(우리는 ‘판도라의 상자’로 불렀습니다)를 입수했습니다. 김경준씨가 미국으로 떠난 뒤 국내에 남아 있던 비비케이투자자문의 내부자료들로, 정황상 위조됐다고 보기 어려운 것들이었습니다. 전문가 검증을 거쳐 밤새워 내용을 분석한 뒤 기사가치가 있는 것만 추렸습니다. 다스가 미국 법원에 낸 공문이나 회계자료 등 객관성이 담보된 것들만 활용하고, 기사 작성 전에 반드시 이 후보 쪽의 해명을 듣는다는 원칙도 세웠습니다. 유력 대선 후보가 차명으로 회사를 갖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정황이 곳곳에서 나타났습니다. 저희가 내보낸 기사 대부분은 이 ‘판도라 상자’에서 나온 것입니다. 유일하게 김경준씨 가족한테서 받은 자료가 바로 한글판과 영문판 ‘이면 계약서’였습니다. 한겨레는 계약서 내용을 단독 보도한 뒤에도 이미 확보한 다른 자료들을 토대로 계약서가 실제 이행됐는지를 추적했습니다. ‘영문판 계약은 실제 집행 … 한글판은 이행 증거 안 나와’(11월24일치 3면)라는 기사도 그런 노력의 결과입니다. 검찰 발표 뒤에도 이 계약서를 두고 김씨는 여전히 위조된 게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으니 재판 과정을 지켜볼밖에요. 다만 ‘전직 검사’가 대통합민주신당에 보낸 편지에서도 주장했듯이 △동업관계였다는 이 후보와 김경준씨가 어떤 역할분담 아래 어떻게 자금을 집행했는지 여전히 불분명하고 △김씨가 주가조작한 돈으로 투자금을 갚았는데도 왜 그 돈의 출처는 전혀 묻지 않았는지 △이 후보가 김씨와 결별한 이후에도 다스의 투자금은 왜 한동안 그대로 내버려뒀는지, 의문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언론 인터뷰와 명함 문제도 그렇습니다.
더 아쉽게 생각하는 것은 검찰 수사를 거치면서 이 사건의 본말이 전도된 게 아닌가 하는 점입니다. 애초부터 한겨레가 이 사건의 핵심으로 꼽았던 ㈜다스의 실소유주(11월17일치 4면)를 둘러싼 의혹은 거의 풀리지 않았습니다. 다스의 투자금이 결국 이 후보가 만든 회사들의 자본금으로 쓰였다는 의혹(11월12일치)도 말끔히 해소되지 않았고요.
특히 도곡동 땅 문제와 관련해 매각대금 17억원이 다스로 흘러들어갔다는 새 증거가 나왔는데도 왜 당사자인 이상은씨를 불러 조사하지 않았는지, 영장이 기각돼 다스 압수수색도 못했는데 왜 “할 수 있는 것은 다 했다”며 서둘러 종결을 선언했는지도 의문입니다. ‘진실’에 대한 저희의 갈증은 언제나 해소될 수 있을까요? 김이택/ 편집국 부국장 rikim@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 전직 검찰간부 “ABC 모두 빠진 BBK수사, 검찰 치욕”
▶ [김효순 칼럼] 제동장치 없는 검찰 여전히 성역인가
▶ 박영선 ‘BBK 사무실서 이명박 인터뷰’ 동영상 급속확산
▶ ‘BBK 수사발표 불신’ 55.2% ‘이명박 특검’ 찬성 49.2%
▶ 청와대 “검찰수사 관여할 의사 없다”
▶ [한겨레 여론조사] 이명박 45.2 - 정동영 13.5 - 이회창 12.9%
특별취재팀, 국내 소재 ‘사과상자 3통’ 분량자료 입수
다스 실소유주 ‘의혹’ 여전…진실은 언제쯤 드러날까 검찰의 비비케이(BBK) 사건 수사 결과 발표 직후 <인터넷 한겨레>에 많은 분들이 글을 올렸더군요. “한겨레 양심 있으면 폐간해라”(msk266)는 비난에서부터 “비비케이에 함구하던 신문들이 모두 ‘무혐의’라고 대문짝만하게 기사를 내보냈더라. 그래도 한겨레는 잠잠하지 말아라. 그대들이 옳았으니까”(blow228)라는 격려까지 다양했습니다. 수사팀의 한 검사는 <한겨레> 기자에게 “미친 X에 물렸다고 생각하라”는 위로 아닌 위로도 했다더군요. 돌이켜 보면, 이번 사건에서는 이명박 후보가 △주가조작과 횡령 △비비케이의 실소유 △㈜다스의 실소유와 관련이 있느냐가 최대 관심사였습니다. 애초 이 후보가 주가조작을 직접 했다고 보기는 어려웠고, 사실상 비비케이와 다스의 실소유주 문제가 핵심이었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한겨레의 보도 경위와 현재의 입장에 대해 설명드리는 게 도리인 듯합니다. 이 사건을 담당하는 특별취재팀은 취재 도중 어렵사리 사과상자 세 통 분량의 ‘자료’(우리는 ‘판도라의 상자’로 불렀습니다)를 입수했습니다. 김경준씨가 미국으로 떠난 뒤 국내에 남아 있던 비비케이투자자문의 내부자료들로, 정황상 위조됐다고 보기 어려운 것들이었습니다. 전문가 검증을 거쳐 밤새워 내용을 분석한 뒤 기사가치가 있는 것만 추렸습니다. 다스가 미국 법원에 낸 공문이나 회계자료 등 객관성이 담보된 것들만 활용하고, 기사 작성 전에 반드시 이 후보 쪽의 해명을 듣는다는 원칙도 세웠습니다. 유력 대선 후보가 차명으로 회사를 갖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정황이 곳곳에서 나타났습니다. 저희가 내보낸 기사 대부분은 이 ‘판도라 상자’에서 나온 것입니다. 유일하게 김경준씨 가족한테서 받은 자료가 바로 한글판과 영문판 ‘이면 계약서’였습니다. 한겨레는 계약서 내용을 단독 보도한 뒤에도 이미 확보한 다른 자료들을 토대로 계약서가 실제 이행됐는지를 추적했습니다. ‘영문판 계약은 실제 집행 … 한글판은 이행 증거 안 나와’(11월24일치 3면)라는 기사도 그런 노력의 결과입니다. 검찰 발표 뒤에도 이 계약서를 두고 김씨는 여전히 위조된 게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으니 재판 과정을 지켜볼밖에요. 다만 ‘전직 검사’가 대통합민주신당에 보낸 편지에서도 주장했듯이 △동업관계였다는 이 후보와 김경준씨가 어떤 역할분담 아래 어떻게 자금을 집행했는지 여전히 불분명하고 △김씨가 주가조작한 돈으로 투자금을 갚았는데도 왜 그 돈의 출처는 전혀 묻지 않았는지 △이 후보가 김씨와 결별한 이후에도 다스의 투자금은 왜 한동안 그대로 내버려뒀는지, 의문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언론 인터뷰와 명함 문제도 그렇습니다.
김이택/ 편집국 부국장

▶ [김효순 칼럼] 제동장치 없는 검찰 여전히 성역인가
▶ 박영선 ‘BBK 사무실서 이명박 인터뷰’ 동영상 급속확산
▶ ‘BBK 수사발표 불신’ 55.2% ‘이명박 특검’ 찬성 49.2%
▶ 청와대 “검찰수사 관여할 의사 없다”
▶ [한겨레 여론조사] 이명박 45.2 - 정동영 13.5 - 이회창 12.9%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