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의 리트위트(RT)
이명박 대통령은 집권 4년차를 맞은 올해 신년사도 특별연설로 때웠다. 군 출신 대통령들도 거의 빼먹지 않던 생방송 ‘연두기자회견’의 전통을 저버린 게다. 이 대통령이 라디오연설 등을 통해 강조했던 ‘소통’의 대상에 기자들은 포함이 되지 않은 걸까. 그러면서 청와대는 트위터 등 새로운 매체를 통해 국민과의 직접적인 소통에 힘쓴다고 역설한다. 청와대는 지난해 여름 트위터에 계정을 만든 뒤, 실시간 회의 브리핑이니, 월드컵 응원 이벤트니, 대통령의 ‘깜짝 인사’니 하며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를 통한 선거운동이 집권에 주요 성공요소였다는 평가를 얻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백악관도 비슷한 착각을 하는 것 같다. 그가 직접 나서는 기자회견 횟수는 전 대통령들에 견줘 현저히 적다. 오바마 집권 뒤 첫 반년 동안 대통령 기자회견은 5차례뿐이었고, 그 뒤 1년 가까이는 아예 열리지 않았다. 지난해 여름부터 주요 언론들이 야유 섞인 물음표를 쏟아냈고, 하반기에 횟수가 늘기는 했지만 전임자 조지 부시(월 3차례)나 빌 클린턴(월 2차례)의 평균엔 미치지 못한다. 페이스북 및 트위터에서 백악관이 가장 활발한 정치분야 계정으로 꼽히는 모습과는 대조적이다.
그러나 소셜미디어를 통한 국민 접촉이 신문과 방송 같은 이른바 ‘올드미디어’식 기자회견을 대체할 수는 없다. 소셜미디어에는 답변이 보장된 질문의 기회가 없다. 사실상 일방적 운영이 가능하다. 작게는 회견장, 넓게는 전국에 생중계되기에 답변을 피하기 힘든 기자회견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대통령 기자회견은 우리 사회에서 대통령에게 질문할 수 있는 유일한 모임이다. 만약 질문할 수 없다면, 대통령은 칙령과 포고령으로 통치할 것이고 독재자가 되고 말 것이다. 대통령은 반드시 질문을 받아야 하며, 기꺼이 모든 질문에 답해야 한다. 기자들의 질문이 아니라 국민들의 질문이기 때문이다.” 존 에프 케네디 시절부터 지난해까지 반세기 동안 백악관 출입기자를 한 헬렌 토머스가 남긴 경구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