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니지의 시민혁명으로 대통령이 축출됐다. 발단은 한 20대 노점상의 분신이었다. 대학을 졸업하고도 일자리를 못 구해 무허가 청과상이 됐으나, 경찰 단속으로 밑천을 모두 잃은 청년이었다. 민원을 제기해도 소용없자 그는 분신했고 끝내 목숨을 잃었다. 주민들은 분개했다. 그렇게 시작된 분노의 물결이 전국으로 퍼져 혁명이 됐다. 트위터를 비롯한 소셜미디어가 확산에 한몫을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언론은 다시 한번 ‘트위터 혁명’을 언급한다. 2009년 이란과 몰도바가 시작이었다. 이란에선 대선 부정 논란 속에 야당 후보가 낙선한 뒤 반정부 시위가 일었다. 몰도바에서도 집권당이 총선에서 과반수를 얻었다고 발표했으나 부정선거 시비가 붙었다. 두 경우에서 모두 트위터는 대중적 정보 전달과 시위 조직에 있어 주요 ‘동력’으로 묘사됐고, 어느덧 ‘트위터 혁명’은 반정부 운동이나 정권 교체에 으레 따라붙는 수식어가 됐다. 해를 거듭해왔음에도 지난해부터 ‘소셜미디어 혁명’ 가능성이 제기되는 타이의 반정부 시위나, 실제 영향에 대해선 이견이 있음에도 꾸준히 회자되는 지난해 한국의 6·2 지방선거가 그랬다.
소셜미디어가 혁명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은 정보를 확산시켜 공감을 이끌어내는 구실이다. 결국 문자메시지, 전자우편 및 인터넷 게시판과 기능적으로 다르지 않다. 전화나 우편, 벽보나 신문·방송도 마찬가지다. 역사적으로 매체의 등장은 늘 큰 변화를 불러왔고, 실제 혁명에 기여하기도 했다. 모바일과 결합한 소셜미디어는 역사상 어떤 매체보다도 더 빨리 더 널리 전파된다. 혁명 또는 정권 교체를 바라는 이들에겐 ‘호기’임이 틀림없다. 그래서 전세계 언론도 주목한다. 다만 공감만으로 혁명을 할 수는 없다. 대중적 분노가 행동으로 이어져야 성공한다. 소셜미디어가 조직화에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분노와 행동을 보장하진 못한다. 실업과 고물가에 시달리면서도 독재의 탄압에 분노를 억눌렀던 튀니지 시민들. 트위터가 없었다면 시간은 더 걸렸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울분을 터뜨리며 거리로 나와 분출시킨 힘은 결국 혁명으로 귀결하지 않았을까.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