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살배기 은서가 머리에 공주처럼 예쁜 구슬관을 쓰고 소꿉놀이를 하고 있다. 이곳은 쌍용자동차 해고자와 그 자녀 등 가족들이 심리치유를 받고 있는 경기도 평택시 통북동 ‘와락센터’의 상담실이다. 한편에 빈 의자가 놓여 있다. 작가 공지영은 22명의 목숨이 스러져간 쌍용차 사태의 비극을 담아 <의자놀이>라는 제목의 르포를 썼다. 의자놀이란 항상 사람 수보다 의자 수가 적은 게임을 말한다. 은서 아빠는 2009년 쌍용차에서 해고된 2646명 중 한 사람이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이용훈 “유신, 헌법의 이름으로 독재 길 열어줘”
■ 의문사 조사관 “장준하 선생 실족 추락사 아니다”
■ 넝쿨당이 못푼 덩굴 ‘여자의 적은 여자야’
■ 박근혜 후보에게…“사과를 바라지 않겠습니다”
■ 월급쟁이는 언제까지 ‘봉’으로 살아야 하나
■ ‘싸이 열풍’에 원더걸스는 배 아프겠다고?
■ [화보] ‘국민 힐링’ 나선 문재인 후보
■ 이용훈 “유신, 헌법의 이름으로 독재 길 열어줘”
■ 의문사 조사관 “장준하 선생 실족 추락사 아니다”
■ 넝쿨당이 못푼 덩굴 ‘여자의 적은 여자야’
■ 박근혜 후보에게…“사과를 바라지 않겠습니다”
■ 월급쟁이는 언제까지 ‘봉’으로 살아야 하나
■ ‘싸이 열풍’에 원더걸스는 배 아프겠다고?
■ [화보] ‘국민 힐링’ 나선 문재인 후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