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이들에게 향수나 추억의 대상인 공중전화가 아직도 필수품인 이들이 있다. 외출·외박을 나온 병사들이 서울역 대합실 공중전화 부스를 모두 차지하고 있다. 훈련소 입소 뒤 휴대전화를 집으로 돌려보낸 사병들은 자대에 배치를 받아도 휴대전화를 소지할 수 없다. “지금 나왔으니 만나자”는 말도 “다음 나올 때까지 기다려달라”는 기약도 공중전화를 통해 전해야 한다. 사회로 돌아온 것이 너무 흥분돼 전화기 옆에 두고 간 전역병의 모자도 보인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전두환 육사에 호쾌한 기부, 그러나 그것은 ‘빈틈’의 시작
■ ‘피서’ 대신 ‘촛불’ 든 시민들 “박 대통령 사과하라”
■ “화가 나면 샌드백 친다” 공포 못 느끼는 야수
■ [화보] 김정은, 평양, 금강산…지금 북한에선
■ [화보] 눈뜨고 못볼 4대강 후유증…깎이고 꺼지고
■ 전두환 육사에 호쾌한 기부, 그러나 그것은 ‘빈틈’의 시작
■ ‘피서’ 대신 ‘촛불’ 든 시민들 “박 대통령 사과하라”
■ “화가 나면 샌드백 친다” 공포 못 느끼는 야수
■ [화보] 김정은, 평양, 금강산…지금 북한에선
■ [화보] 눈뜨고 못볼 4대강 후유증…깎이고 꺼지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