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지난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6일 지명직 최고위원을 비롯한 주요 당직 인선을 마무리했다. 8·28 전당대회 이후 진행된 당 체제 정비를 완료한 셈인데, 면면을 보면 ‘친명 독식’이라는 말이 나올 만큼 이 대표와 가까운 사람들이 다수 포진해 있다.
우선 당 지휘부인 최고위원 7명 중 5명이 ‘친명’으로 분류된다고 한다. 이 대표의 의지와 무관한 전당대회 선출직 5명 외에 지명직의 경우 변화를 줄 법도 한데, 이 대표는 두 자리 중 하나를 가까운 인사로 채웠다. 사무총장·비서실장·대변인 등 당대표를 지근거리에서 보좌하는 핵심 당직은 물론 정책위 수석부의장, 미래사무부총장, 전략기획위원장 등 요직도 대선 출마 전부터 인연이 깊은 이른바 ‘7인회’ 의원들에게 맡겼다.
당직 인선은 당대표의 권한이다. 이 대표는 전당대회에서 77.77%라는 압도적 지지로 선출됐으니 당직 인선쯤은 마음대로 해도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면의 기록도 눈여겨봤으면 한다. 당의 핵심 기반인 전국 권리당원 10명 중 6명이 투표에 불참하고 기권했다. 20일 넘게 전국 순회 경선이 이어졌음에도 투표율은 시종일관 저조했다. ‘어대명’(어차피 당대표는 이재명) 분위기에서 그만큼 생각을 달리하는 그룹이 당내에 폭넓게 존재한다는 방증인 것이다.
그래서 이 대표가 당선되면 당직 인선 등에서 ‘비명’ 쪽에 손을 내밀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그 어느 때보다 민생의 위기감이 높은 상황에서 원내 제1당인 민주당이 제 역할을 해내려면 통합과 탕평의 리더십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마침 이 대표도 전당대회 경선 과정에서 “정당의 본질은 본래 다양성”이라며 “승리하는 정당이 되기 위해선 ‘네 편 내 편’ 또는 ‘생각이 같으냐 다르냐’로 가를 것이 아니라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통합의 정당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주요 당직 인선 결과는 평소 다짐과 사뭇 달랐다.
같은 목소리를 내는 사람이 너무 많으면 다른 목소리는 들리지 않게 된다. ‘당내 민주주의’가 강조되는 이유다. 어느 한 방향으로 내달릴 가능성은 커지는 반면, 제동을 걸 힘은 약해진다. 무엇보다 외부의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는 통로가 줄어 민심에서 멀어질 위험이 높아진다.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사태가 민주당에는 반면교사일 수 있다. 이 대표는 이번 당직 인선을 두고 당 안팎에서 제기된 비판적인 시선과 우려를 각별히 새기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