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청년들이 탈북자들의 대북전단 살포를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성토하는 군중 집회를 열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6일 보도했다. 사진은 이날 평양시 청년공원야외극장에 모인 북한 학생들이 마스크를 쓰고 군중 집회를 하는 모습.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이 탈북자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문제 삼아 대남 비판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북한은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담화(4일) 이후 노동당 통일전선부 대변인 담화(5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과 대남 선전매체 대남 비판 보도(7일)를 잇따라 내놓았다.
김여정 제1부부장이 담화를 발표한 그날 통일부가 ‘대북전단 살포를 법으로 막겠다’는 정부 입장을 신속하게 내놓았음에도 북한의 비판은 시간이 갈수록 거칠어지고 있다. 2018년 세차례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쪽에 대한 기대가 컸던 만큼, ‘미국이 승인해주지 않으면 할 수 없다고 손 들고 나앉아 아까운 시간을 허송세월한 남조선 당국’에 대한 실망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와 경제난을 겪고 있는 북한 내부의 결속을 다지려는 정치적 동기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 배경을 고려하더라도 연일 남쪽을 향해 거친 언사를 던지는 북한 태도는 몹시 유감스럽다. 이래선 남한 여론의 지지를 얻기가 어렵고, 오히려 한국 정부의 포용적 태도에 대한 부정적 여론만 확산시킬 뿐이다.
최근 상황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김여정 제1부부장이 ‘대남 사업을 총괄’(통일전선부 담화)하며 전면에 등장했다는 점이다. 북한이 남북관계 개선은 그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는 메시지를 남쪽에 던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한-미 양국도 북한 입장이 ‘김여정 담화'를 통해 전달된 점에 주목하고 김 제1부부장의 위상 변화와 그 무게감을 간과하기 어렵다는 데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북한 태도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기본 조건과 환경을 만들라는 요구라는 해석도 있다. 대북전단 살포 중단은 2018년 판문점 선언, 9·19 남북군사합의에 이미 들어 있고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와도 무관하다. 북한이 대북전단 문제를 앞으로 남북관계 풍향계로 삼겠다는 뜻일 수 있다는 것인데, 그렇다면 좀더 솔직하게 남북 접촉과 대화에 나서야 할 것이다.
정부는 사태가 더 악화하지 않게 상황 관리를 잘해야 한다. 먼저 25일로 예정된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시키는 게 필요하다. 지난 5일 접경지역 시장·군수 협의회는 통일부를 찾아 김연철 장관에게 ‘접경지역의 긴장을 조성할 수 있는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중단시켜 달라’는 내용의 건의문을 전달했다. 대북전단을 비롯해 남북 합의와 관련한 문제는 엄포와 비난이 아니라 긴밀한 접촉과 대화를 통해 풀어야 한다는 사실을 남북 당국 모두 엄중하게 인식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