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후 부산시청 앞에서 열린 ‘4대악 의료정책 저지를 위한 전국의사총파업 부울경 궐기대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의대 정원 확대 등에 반발하는 의사 단체들이 또다시 집단행동을 예고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가 21일부터 무기한 업무중단을 계획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앞서 대한의사협회(의협)는 26~28일 ‘2차 총파업’을 하겠다고 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는 터에 의료 시스템의 중추를 담당하는 이들이 파업 수위를 더 높이겠다고 한 것이다. 직업적 의무와 윤리를 망각한 무책임한 행동이 아닐 수 없다.
코로나 감염증은 지난주부터 하루 세자릿수 확진자가 발생하며 2차 대유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금의 코로나 확진자 발생 추세가 지속되면 수도권 의료 시스템에도 조만간 과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주로 코로나 중증 환자들이 치료받는 상급병원에서 수술·진료를 보조하는 전공의들이 무기한으로 업무를 중단하면 금세 감당할 수 없는 의료 공백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그 피해는 환자와 국민이 오롯이 감당해야 한다. 의사 단체들도 이런 위기 상황을 모를 리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최대집 의협 회장은 “정부가 책임 있는 답변을 내놓지 않는다면 이달 26~28일 전국 의사 2차 총파업을 한 뒤 무기한 파업으로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자신들의 이해 관철을 위해 코로나 위기를 볼모로 삼는 게 아니냐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의사 확충을 통해 공공의료를 확대하고 지역별 격차를 완화해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대는 이미 충분하다. 정부는 “의대 정원 문제는 정부와 논의할 제도적 사안”이라며 대화로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의사 단체들은 ‘정책 철회’를 전제조건으로 내걸어 사실상 대화를 거부하고 있다. 의사 파업은 그동안 코로나 대응 과정에서 의료계가 헌신적 노력으로 쌓은 국민적 신뢰를 훼손할 뿐이다. 파업 계획을 철회하고 직업윤리로 돌아가는 게 마땅하다. 정부도 더 적극적인 대화 노력에 나서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