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에 대한 교육부 종합감사에서 학사 비리와 회계 부정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교수들이 유흥업소에서 법인카드를 유용하고 자신의 자녀들에게 학점 특혜를 주는 등 지난 7월 나온 연세대와 홍익대 감사 결과와 판박이다. 명문 사학을 자처하는 대학들의 몰염치한 행태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
교육부가 24일 발표한 감사 결과를 보면, 교수 13명이 서양음식점으로 위장한 서울 강남의 한 유흥업소에서 3년 동안 7천만원을 법인카드로 결제했다. 이들 중 한명은 무려 86차례나 사용했다. 또 교비로 교직원들에게 ‘퇴직자 전별금’, ‘보직자 임기만료’ 등의 명목으로 순금과 상품권을 사줬다. 학생들의 등록금으로 조성된 교비로 여성 종업원이 나오는 술집에 가고 선물까지 나눠 갖다니 학생들 보기 부끄럽지도 않은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연세대 감사에서 드러났던 ‘부모 찬스’도 적발됐다. 교수가 자신의 자녀를 가르치고 대학에 답안지도 제출하지 않은 채 A+ 학점을 준 사례가 여러 건 드러났다. 입시 부정 혐의도 적발됐다. 체육 특기자 선발 절차에서 서류평가로 3배수를 뽑겠다고 공지해놓고 4배수를 뽑았다. 이 바람에 최고 점수 수험생 등이 탈락하고 추가 선발자들이 합격했다. 가장 공정해야 할 최고 교육기관에서 비리와 편법을 관행처럼 저질러온 것이다. 교육부의 엄정한 관리·감독과 대학의 뼈를 깎는 자정 노력이 요구된다. 검찰도 교육부가 수사 의뢰한 입시 부정 혐의에 대해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