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건비 충당못하는 지자체 41개
지방재정이 올해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어서는 등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지만 지방재정 자립도는 오히려 낮아져 자체수입으로 인건비도 충당하지 못하는 지방자치단체가 41개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지방세 수입의 61%가 수도권 지역 자치단체에 집중되는 등 세원 불균형에 따른 자치단체간 재정불균형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2006년 지방재정의 규모는 일반예산과 특별예산을 합쳐 2005년보다 9.7% 증가한 101조3천522억원으로 올해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일반회계 예산 대비 자체수입(지방세+세외수입) 비율인 지방재정자립도는 54.4%로 작년대비 1.8%포인트가 떨어져 2000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또 지방세와 세외수입(수익사업을 통한 사용료와 수수료 수입)을 합친 자체수입으로 인건비도 충당하지 못하는 지자체는 작년보다 1개가 더 늘어난 42개에 달했다.
특히 지방세로 인건비를 충당할 수 없는 지자체는 250개 지자체 가운데 60%에 해당하는 151개나 됐다.
이는 지방세 체계가 재산과세 위주로 돼 있어 지방세 확충에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재정자립도는 서울시가 93.3%로 가장 높았고 강진군이 7.8%로 가장 낮았다. 단체별 최고 최저는 △광역시 대전 71.0%, 광주 54.1% △도 경기 68.8%, 전남 13.6% △시 성남 72.4%, 남원 11.3% △군 울주 50.5%, 강진 7.8% △자치구 서울 서초구 90.4%, 대전 동구 15.6% 등이었다. 이와 함께 지자체의 경우 자체수입이 세출규모를 따라가지 못하는 구조적인 한계 때문에 교부세와 보조금 등 국가재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2006년 세수는 국세 79%, 지방세 21% 인데 비해 재정사용액 기준으로 지방이 전체의 54%를 차지, 중앙의 46%를 크게 웃도는 상황이다. 행자부 관계자는 "정부는 세원 불균형에 따른 지자체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세목교환 추진 등을 면밀히 검토하는 한편 지방재정확충 차원에서 새로운 세원 발굴 작업도 함께 벌여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재홍 기자 jaeh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는 지방세 체계가 재산과세 위주로 돼 있어 지방세 확충에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재정자립도는 서울시가 93.3%로 가장 높았고 강진군이 7.8%로 가장 낮았다. 단체별 최고 최저는 △광역시 대전 71.0%, 광주 54.1% △도 경기 68.8%, 전남 13.6% △시 성남 72.4%, 남원 11.3% △군 울주 50.5%, 강진 7.8% △자치구 서울 서초구 90.4%, 대전 동구 15.6% 등이었다. 이와 함께 지자체의 경우 자체수입이 세출규모를 따라가지 못하는 구조적인 한계 때문에 교부세와 보조금 등 국가재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2006년 세수는 국세 79%, 지방세 21% 인데 비해 재정사용액 기준으로 지방이 전체의 54%를 차지, 중앙의 46%를 크게 웃도는 상황이다. 행자부 관계자는 "정부는 세원 불균형에 따른 지자체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세목교환 추진 등을 면밀히 검토하는 한편 지방재정확충 차원에서 새로운 세원 발굴 작업도 함께 벌여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재홍 기자 jaeh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