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일본·호주 대북 금융제재 환영”
중 “제재 반대…10자회동 불참할 것”
중 “제재 반대…10자회동 불참할 것”
미국과 중국이 북한 제재 문제에서 서로 다른 뜻을 명확하게 밝혔다.
미국은 19일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 정부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695호에 따라 대북한 금융제재에 나선 데 대해, “양국의 조처는 두 나라의 금융 시스템을, 대량살상무기(WMD)나 미사일의 확산을 조장하려는 세력에 의해 악용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미 국무부의 숀 매코맥 대변인은 성명을 내어 “미국은 다른 나라도 안보리 결의 이행을 위해 유사한 조처들을 취하길 강력히 권고한다”며 “미국은 현재 안보리 결의의 완전 이행을 위해 추가 조처가 필요한지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의 친강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모든 당사국들은 되도록 이른 시일 안에 6자 회담을 다시 열기 위해 논의를 집약시켜야 하며,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할 수 있는 제재는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강 대변인은 또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10자 회동’ 참가 여부에 대한 질문을 받고, “중국은 그런 회담에 참가할 계획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규형 외교통상부 제2차관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이 10자 회동에 불참할 것임을 밝힌 데 대해 “어떤 나라가 불참할지는 그 국가의 판단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며 “(한국은 10자) 회동에 참가할 예정이며, 미국은 10자 회동이 6자 회담을 대체하는 것이 아님을 밝히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다자회동이 이번주 뉴욕에서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6자 회담 한-미 수석대표인 천영우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20일 뉴욕에서 ‘공동의 포괄적 접근 방안’의 구체적 내용과 관련한 첫 협의에 들어갔다.
천 본부장은 출국 전 “이미 (포괄적 접근 방안의) 구도는 정해져 있고, 어떻게 하나의 액션플랜과 로드맵을 만드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워싱턴·베이징/류재훈 유강문 특파원,
이제훈 기자 hoonie@hani.co.kr
이제훈 기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