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실험 비상상황 외교장관 공석 부적절"
국정감사 답변 차관 대행토록 국회 양해 구해
국정감사 답변 차관 대행토록 국회 양해 구해
청와대는 차기 유엔 사무총장 단독후보로 지명된 반기문(潘基文) 외교통상부 장관이 오는 13일 유엔총회에서 차기 총장으로 선출되더라도 북핵실험이라는 비상상황임을 감안, 당분간 장관직을 유지시키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11일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 당국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반 장관의 사표 제출 시기와 관련, "북핵실험으로 조성된 상황을 정리하기 위해 어떤 체제로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한가가 중요하다"며 "반 장관이 유엔총회에서 총장 내정자로 선출된 후 당분간 장관직을 유지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른 당국자도 "아직 사표제출 시기는 결정이 안됐으며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전제한뒤 "다만 북핵실험 상황이 있기 때문에 유엔총장 확정후 사표를 내는게 맞는지, 장관직을 유지하며 상황을 푸는데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나은지, 국제관례는 어떤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당초 북한 핵실험 발표가 있기 전에는 반 장관이 유엔총회 인준을 거치는 대로 장관직에서 물러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검토했지만, 북핵실험 강행이라는 돌발사태에 따라 관련국들과 외교협의를 해야 하는 외교장관직을 공석으로 둘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이같이 방침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반 장관을 유엔 총회 직후 교체할 경우 국회 인사청문회 일정 등을 감안하면 장관 자리가 보름 이상의 공백이 초래될 수 있다.
반 장관은 오는 13일 차기 유엔 사무총장으로 선출되더라도 임기는 내년 1월1일부터 시작된다.
이와 관련, 정부는 반 장관이 당분간 장관직을 유지할 경우 유엔 사무총장 내정자 신분으로 국회 국정감사에 임하는 것은 부적절한 만큼, 유명환(柳明桓) 외교부 제1차관이 국정감사 답변에 임하는 쪽으로 국회 외교통상위원회의 양해를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반 장관은 이날 오전 유엔 총회 참석차 출국하기 앞서 외교부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장관직 사임 시점을 묻는 질문에 "인사권자가 결정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성기홍 기자 sgh@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