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따라잡기식' 의정비 인상 추진 논란
최근 강남구의회가 내년도 의원 연봉을 6천100만 원으로 인상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남지역 시.군의회 의원들도 '강남 따라잡기식' 의정비 인상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28일 전남 시.군의회의장협의회(회장 김수성 광양시의회의장)에 따르면 최근 무안에서 열린 제127차 의장협의회에서 기초의원 연봉 인상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무보수 명예직에서 유급제로 전환됐지만 실제 받는 의정비는 의정활동을 위해서 턱없이 부족하므로 현실화가 불가피하며 각 시.군별로 분위기가 좋은 곳부터 인상을 추진하자'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수성 협의회장은 "지방의원 유급제 도입 당시 정부가 부단체장 급으로 연봉을 책정하겠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공무원 7급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며 "현재 연봉으로는 제대로 된 의정활동을 할 수가 없으므로 최소한 사무관급 이상 수준으로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현재 전남지역 시.군의회 의원들이 받고 있는 연봉은 광양시가 2천883만 7천 원으로 가장 많고 강진군이 2천220만 원으로 가장 적다.
이는 유급제 실시 이전 시.군의원들이 의정활동비와 회기수당 명목으로 연간 지급받았던 2천120만 원보다는 많지만 전국 기초의원 평균 연봉(2천730만원)에는 못 미치고 있다. 이처럼 전남지역 기초의원들이 전국 평균에 못 미치는 연봉 수준을 상향조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남 시.군의회의장협의회 제128차 협의회가 다음 달 5일 나주에서 열릴 예정이어서 이 문제가 공식 논의될 지 주목된다. 그러나 기초의원들의 이 같은 연봉인상 움직임에 대해 시민단체와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 무보수 명예직에서 유급제로 전환된 지 불과 1년여 만에 우리나라 최고 부자동네로 꼽히는 강남구 수준으로 연봉 인상을 추진하는 것은 성급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상석 '행.의정 감시를 위한 전남연대' 운영위원장은 "의원들이 그동안의 의정활동에 대한 평가도 거치지 않고 일방적으로 연봉 인상을 추진하는 것은 명분이 없다"며 "9월 중순까지 각 기초의회의 입법활동과 비리 등에 대한 조사를 벌인 후 공식 대응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김재선 기자 kjsun@yna.co.kr (무안=연합뉴스)
이는 유급제 실시 이전 시.군의원들이 의정활동비와 회기수당 명목으로 연간 지급받았던 2천120만 원보다는 많지만 전국 기초의원 평균 연봉(2천730만원)에는 못 미치고 있다. 이처럼 전남지역 기초의원들이 전국 평균에 못 미치는 연봉 수준을 상향조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남 시.군의회의장협의회 제128차 협의회가 다음 달 5일 나주에서 열릴 예정이어서 이 문제가 공식 논의될 지 주목된다. 그러나 기초의원들의 이 같은 연봉인상 움직임에 대해 시민단체와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 무보수 명예직에서 유급제로 전환된 지 불과 1년여 만에 우리나라 최고 부자동네로 꼽히는 강남구 수준으로 연봉 인상을 추진하는 것은 성급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상석 '행.의정 감시를 위한 전남연대' 운영위원장은 "의원들이 그동안의 의정활동에 대한 평가도 거치지 않고 일방적으로 연봉 인상을 추진하는 것은 명분이 없다"며 "9월 중순까지 각 기초의회의 입법활동과 비리 등에 대한 조사를 벌인 후 공식 대응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김재선 기자 kjsun@yna.co.kr (무안=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