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 4년간 전국 땅값 및 국내총생산(GDP) 변화
이한구 의원 주장…공시가 2002년 1545조→2006년 2911조
참여정부 집권 이후 4년간 우리나라의 땅값이 공시지가 기준으로 2배 가까이 뛰어올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소속 이한구 의원(한나라당)은 9일 참여정부 집권 직전인 2002년 1545조8천억원이었던 전국의 공시대상 개별공시지가 합계액이 2006년에는 2911조3천억원으로, 2002년에 견줘 1365조5천억원이나 올랐다고 밝혔다. 집계대상 토지가 2002년의 경우 909억5300만㎡에서 2006년 915억3900만㎡으로 0.6% 가량 늘어난 점과 공시지가의 실거래가 반영 비율이 높아졌음을 감안해도 상당한 수준의 증가세다. 2006년 전국의 평당 토지가격은 평균 10만5천원으로, 2002년 5만6천원보다 87.2% 올라 2002~2006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23.9%의 3.6배나 높은 수준이었다고 이 의원은 지적했다.
시·도별로는 행정중심 복합도시를 유치한 충남 지역의 평당 가격이 2만3800원에서 5만8500원으로 145.8% 올라 가장 높았고, 이어 경기도가 12만1천원에서 29만2700원으로 141.9% 상승했다. 서울은 342만5300원에서 587만4900원으로 71.5% 올라 상승률 7위였고, 부산은 50만1100원에서 62만1300원으로 24.0% 올라 가장 낮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