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시정추진단 102명 중 57%만 현업복귀
`무능.불성실 공무원'을 가려내 공직사회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서울시가 지난 4월 사상 처음으로 도입한 `현장시정추진단' 운영 결과 24명이 현장에서 `퇴출'되게 됐다.
추진단에 배속됐던 102명 가운데 24명(23.5%)이 자진퇴직.해임.직위해제 등의 조치로 사실상 공직을 떠나게 된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9일 "4월부터 6개월간 실시한 현장시정추진단 운영결과를 토대로 전체 교육대상자의 57%인 58명만 현업에 복귀하고 나머지 44명(43%)은 현직에서 배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업에 복귀하지 못하게 된 44명을 유형별로 보면 자진퇴직 10명, 해임 3명, 직위해제 4명, 퇴직 예정 7명, 재교육 20명 등으로, 재교육자를 제외할 경우 24명이 신분변동이 따르는 인사조치로 `퇴출'되게 된 것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자진퇴직자 10명과 해임자 3명은 추진단 구성 초기 스스로 그만뒀거나 추진과정에서 근무태도 불량으로 공직을 떠나게 됐으며, 직위해제된 4명은 근무성적 불량, 근무 중 음주, 동료와의 마찰 등의 사유로 `퇴출'된 것으로 밝혀졌다.
시 관계자는 "직위해제된 직원들은 지방공무원법에 따라 최대 3개월간 대기발령 상태에서 개인별로 능력 회복을 위한 치유과제를 수행하게 된다"며 "이 과제를 완수하면 재교육 기회를 주되 그렇지 못하면 직권면직할 것"이라고 말해 사실상 `퇴출 대상자'로 분류됐음을 시사했다.
서울시는 또 올해 말 정년 퇴직이 예정돼 있으나 집합교육이 더 이상 효과가 없다고 판정된 7명에 대해선 퇴직 때까지 출근하지 않도록 했다.
재교육자 20명은 질병.육아 등으로 추진단에 참여하지 못한 직원과 능력 또는 태도 개선이 미흡하다고 평가된 직원들로 6개월간 한 차례 더 재교육을 받게 된다.
시는 앞으로 현장시정추진단을 `현장시정지원단'으로 개칭해 매년 상반기 정기인사 때마다 구성, 상설화하는 한편 `3진 아웃제'를 도입해 운영을 보완할 방침이다.
삼진 아웃제란 두 차례까지 무능.태만 공무원으로 지적될 경우 현장시정지원단에서 교육받도록 하되 세 번째로 문제가 되면 직위해제를 거쳐 면직하는 시스템이다.
시 관계자는 "현장시정지원단은 서울시를 경쟁력 있는 조직으로 만들기 위한 제도"라며 "매년 초 정기인사 때마다 흔들림없이 일관성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