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퇴임한 정상명 검찰총장이 박수를 받으며 퇴임식장인 서울 대검찰청 4층 강당으로 들어서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정상명(57) 검찰총장이 23일 임기 2년을 끝내고 `전직 총장'이 돼 30년 간 몸담은 검찰을 떠났다.
그는 건국 이래 전례가 없었던 법무부장관의 첫 수사지휘권 행사에 따른 갈등으로 전임 김종빈 총장이 취임 6개월 만에 중도 퇴진해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2005년 11월24일 검찰의 수장이 됐다.
당시 검찰은 장관의 지휘권 행사, 검ㆍ경 수사권 조정, 사법개혁 논의 등에 휩싸여 혼란스런 상태였다.
이 같은 위기 상황에서 `특급 소방수' 역할을 맡은 정 총장은 검찰 안팎의 도전에 적극 대처해 조직 안정을 기하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등 훌륭히 임무를 완수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재임 기간 중 론스타에 대한 외환은행 헐값매각 의혹, 현대차그룹 비자금 조성 사건, 사상 최초의 현직 고법 부장판사 구속 등 굵직한 사건을 처리했다.
수사과정에서 론스타 사건 관계자의 구속영장이 잇따라 기각되면서 법원과 `영장 갈등'을 빚었지만 검찰이 동요할 때마다 지방순시, 산행 등을 활용해 조직을 추스르는 탁월한 위기관리 능력을 보였다.
이밖에 정 총장은 검찰 100대 과제 추진, 사법경찰 수사지휘체계 정비, 부장중심제 확립, 미래기획단 설치 등을 통해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고 `선진 검찰'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올 하반기 변양균ㆍ신정아 사건, 정윤재 전 청와대 비서관 사건 처리에서 `늑장ㆍ부실 수사' 논란에 휘말렸고 퇴임 직전에 불거진 `삼성 비자금 및 로비' 의혹으로 검찰이 위기에 몰리는 모습도 고스란히 지켜보는 고통을 감내해야 했다.
여기에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BBK 의혹과 대선후보 간 고소ㆍ고발 사건을 줄지어 검찰이 처리하게 되면서 `정치적 중립'을 둘러싼 정치권의 공방 한가운데에서 눈코 뜰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기도 했다. 이처럼 정 총장은 검찰이 가장 어려운 시기에 `소방수'로 등장했다가 임기말 조직에 불어닥친 위기 상황에서 다시 `소방수' 역할을 맡아 조직을 추스르고 떠나는 흔치 않은 경험을 한 총장으로 남게 됐다. 임주영 기자 zoo@yna.co.kr (서울=연합뉴스)
여기에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BBK 의혹과 대선후보 간 고소ㆍ고발 사건을 줄지어 검찰이 처리하게 되면서 `정치적 중립'을 둘러싼 정치권의 공방 한가운데에서 눈코 뜰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기도 했다. 이처럼 정 총장은 검찰이 가장 어려운 시기에 `소방수'로 등장했다가 임기말 조직에 불어닥친 위기 상황에서 다시 `소방수' 역할을 맡아 조직을 추스르고 떠나는 흔치 않은 경험을 한 총장으로 남게 됐다. 임주영 기자 zoo@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