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일 교육부총리가 5일 오후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신일 교육부총리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논란에 책임을 지고 전격 사퇴하게 되자 교육부 직원들은 참여정부 말기 갑작스런 수장 공백 사태에 당혹스런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김 부총리는 청와대로부터 사표 수리 방침이 전해진 직후인 5일 오후 정부종합청사 16층 교육부 대회의실에서 곧바로 이임식을 갖고 1년 4개월여만에 교육부 수장의 자리를 떠났다.
교육부는 참여정부 임기가 끝날때까지 서남수 차관 대행체제로 운영되게 됐다.
교육부 한 간부는 "인사권자의 뜻을 제대로 따르지 못한데 대해 김 부총리가 고심하다 사표를 냈으나 막상 사표가 수리됐다고 하니 안타깝고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한 핵심 관계자는 "청와대와의 로스쿨 논의 과정에서 김 부총리는 어떤 결론이 나든 상관없이 거취를 결정하기로 내심 생각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김 부총리로선 로스쿨 추가 선정 문제를 청와대 요구대로 수용하면 로스쿨 일정 자체가 파행을 겪게 되고 청와대 요구를 거부하면 인사권자의 뜻을 거부하는 `항명'이 되기 때문에 어떤 경우든 사퇴는 이미 예고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청와대의 사표 수리 공식 발표에 대해 대부분의 직원들은 `다소 의외'라는 반응이 주류를 이뤘다.
김 부총리가 전날 사표를 제출한 뒤 교육부 내부에선 `인사권자에 대한 예의 차원'이란 분석이 우세했고 노무현 대통령이 이같은 뜻을 충분히 반영해 사표를 반려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돌았다.
이날 오전 김 부총리의 사의 표명 소식을 전해들은 일부 직원들은 "참여정부 임기가 20일도 남지 않았는데 김 부총리의 사의가 받아들여지겠느냐. 아마도 임기를 함께 할 것"이라며 애써 담담한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교육계 한 인사는 이에 대해 "김 부총리의 사표가 수리됐다니 상식밖"이라며 "로스쿨 논란의 책임을 모두 김 부총리에게 지운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올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부조직 통폐합 대상 부처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는 교육부의 직원들은 김 부총리가 참여정부 임기를 다하지도 못하게 돼 이래저래 뒤숭숭한 분위기다. 김성용 기자 ksy@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날 오전 김 부총리의 사의 표명 소식을 전해들은 일부 직원들은 "참여정부 임기가 20일도 남지 않았는데 김 부총리의 사의가 받아들여지겠느냐. 아마도 임기를 함께 할 것"이라며 애써 담담한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교육계 한 인사는 이에 대해 "김 부총리의 사표가 수리됐다니 상식밖"이라며 "로스쿨 논란의 책임을 모두 김 부총리에게 지운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올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부조직 통폐합 대상 부처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는 교육부의 직원들은 김 부총리가 참여정부 임기를 다하지도 못하게 돼 이래저래 뒤숭숭한 분위기다. 김성용 기자 ksy@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