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 화재 소실 사건과 관련 대통령에게 사직서를 제출한 유홍준 문화재청장이 12일 오후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국민 사과와 함께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숭례문 복원 어떤 형태든 참여”…“유럽출장 문제 없었다”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12일 "숭례문 화재 사건의 책임을 지고 이날 대통령에게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유 청장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를 통해 "온 국민을 참담한 심정으로 몰아넣은 국보 1호 숭례문의 소실에 누군가 책임을 져야할 것이고 그 책임은 당연히 문화재청장에게 있다는 생각에서 사직코자 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문화재청장을 사직한다고 책임에서 벗어나는 것도, 또 수습을 방기할 뜻도 전혀 아니다"라며 "사직 이후에도 어떠한 형태로든 복원 과정에 참여해 행정경험과 지식이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청장은 "3년6개월간 청장직을 수행하면서 때로는 물의를 빚고, 여론의 질타를 받기도 했으나 열정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혁신적으로 문화재 행정을 이끌었다는 점에서는 한점 부끄러움이 없었다"며 "그러나 이제 청장 재직시절에 국보 1호를 소실시켰다는 불명예에, 어쩌면 죽은 후에도 지울 수 없는 아픔을 안고 떠나게 됐다"고 소회를 밝혔다.
유 청장은 이어 이날 오전 오세훈 서울시장과 만나 숭례문의 석축 복원 문제를 협의했다며 복원과정에서 일제강점기에 잘려진 양측 성벽을 다시 살려내고 원래보다 1.5m 높아진 지표를 원상 회복시키는 방안도 논의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성벽 석축 복원과 지표 회복 작업이 추가될 경우 복원 공사 기간이 당초 예상했던 3년보다 길어질 수도 있으나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신속히 진행하면 3년 안쪽으로 단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이른 시일내에 문화재청과 서울시가 이와 관련한 실무자 회의를 갖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또 낙산사 화재 이후 문화재청이 마련한 화재 대책 매뉴얼이 부실하다는 지적과 관련, "당시 만들었던 매뉴얼은 모든 목조문화재 화재에 대한 것이 아니라 산불에 염두를 둔 것"이라며 "부끄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유 청장은 "떠나는 자의 사심 없는 변"이라며 "숭례문의 1차 관리 책임기관을 서울시 중구청으로 규정한 현행 제도는 반드시 고쳐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문화재청은 반드시 권역별 지방청을 설립해 일관된 문화재 관리체계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그렇게 하는 것만이 1만건이 넘는 문화재가 체계적으로 관리돼 근본적으로 이번 사태와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 장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 청장은 화재 당시 외유성 출장 중이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여행 경비를 포함한 출장 계획서와 주프랑스 대사관에서 받은 면담 주선 공문 등을 직접 제시하며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그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심사를 받게 될 남해안 공룡발자국과 조선시대 왕릉의 원만한 통과를 위해 유네스코 사무총장 및 유네스코 세계유산 연구소장과의 면담을 어렵사리 성사시켜 출장을 간 것"이라고 밝히고 "네덜란드에서도 하멜재단 이사장 등을 만나 교류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덧붙였다. 여행 경비의 경우 차관급 공무원 여비규정에 따라 청장 몫으로 1천250만원, 수행 직원 몫으로 487만원 등 총 1천680만원이 배정됐으나 실제로 사용한 것은 200만원 가량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공무원 출장비는 실비 지급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부인을 동반한 점에 대해서는 "외국 초청 방문 때는 부인을 동반하는 게 보통이며 항공비는 대한항공에서 지불하고 호텔에서는 나와 같은 방을 쓰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이번 출장에서 부인을 동반해야 하는 자리가 없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시원스레 답변하지 못했다. 고미혜 기자 mihye@yna.co.kr (서울=연합뉴스)
아울러 유 청장은 "떠나는 자의 사심 없는 변"이라며 "숭례문의 1차 관리 책임기관을 서울시 중구청으로 규정한 현행 제도는 반드시 고쳐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문화재청은 반드시 권역별 지방청을 설립해 일관된 문화재 관리체계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그렇게 하는 것만이 1만건이 넘는 문화재가 체계적으로 관리돼 근본적으로 이번 사태와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 장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 청장은 화재 당시 외유성 출장 중이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여행 경비를 포함한 출장 계획서와 주프랑스 대사관에서 받은 면담 주선 공문 등을 직접 제시하며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그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심사를 받게 될 남해안 공룡발자국과 조선시대 왕릉의 원만한 통과를 위해 유네스코 사무총장 및 유네스코 세계유산 연구소장과의 면담을 어렵사리 성사시켜 출장을 간 것"이라고 밝히고 "네덜란드에서도 하멜재단 이사장 등을 만나 교류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덧붙였다. 여행 경비의 경우 차관급 공무원 여비규정에 따라 청장 몫으로 1천250만원, 수행 직원 몫으로 487만원 등 총 1천680만원이 배정됐으나 실제로 사용한 것은 200만원 가량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공무원 출장비는 실비 지급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부인을 동반한 점에 대해서는 "외국 초청 방문 때는 부인을 동반하는 게 보통이며 항공비는 대한항공에서 지불하고 호텔에서는 나와 같은 방을 쓰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이번 출장에서 부인을 동반해야 하는 자리가 없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시원스레 답변하지 못했다. 고미혜 기자 mihy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