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선진, 세종시-총리인준 연계 검토
충청권 최대 현안인 세종시 건설 문제가 정운찬 총리 후보자 국회 인사청문회의 최대 쟁점으로 떠오를 조짐이다.
정 후보자가 세종시 `원안 추진'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밝히면서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등 야당이 강력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야당이 세종시와 총리 인준을 연계할 가능성이 높아 경우에 따라서는 세종시 수정 논란이 인사청문회를 넘어 향후 정국의 최대 뇌관으로까지 떠오를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물론 집권 여당인 한나라당이 원안 추진 방침을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정 후보자가 `꼬리'를 내릴 경우 큰 쟁점으로 부상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야당 입장에선 의구심을 버리지 않고 계속 문제 제기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민주당은 6일 현재 세종시가 충청지역의 민심을 좌우할 만한 폭발력 있는 소재라는 판단 아래 원안 추진 입장을 고수하면서 정 후보자의 발언 취소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정 후보자의 세종시 발언에 적극 대처하지 않을 경우 충청권의 지지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민주당 고위관계자는 "정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세종시 발언에 대해 제대로 해명하지 못할 경우 총리 인준과 연계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며 "일단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7일 의원총회를 소집, 소속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구체적인 대응방침을 확정할 계획이다.
최근 심대평 전 대표의 탈당에 이어 충청 총리 지명으로 위기에 처한 자유선진당은 정 후보자의 세종시 발언을 역공의 기회로 삼는 분위기다. 선진당은 이미 이회창 총재까지 직접 나서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성토하는 등 이미 정치쟁점화를 시도하고 나섰다. 한나라당 역시 충청 민심을 의식, 원안 추진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충청 총리 카드로 모처럼 충청 민심을 되돌릴 기회를 잡았는데 절대 놓칠 수 없다는 각오가 읽혀진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지난 4-5일 천안에서 열린 의원연찬회에서 "이번 정기국회에서 세종시법은 반드시 원안대로 통과시킬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핵심 당직자는 "정 후보자의 입장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지금의 세종시법을 수정하기는 힘들 것"이라면서 "야당이 정 후보자의 말꼬리를 문제 삼아 정치쟁점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정 후보자는 국정 전반을 관할하는 총리에 내정된 만큼 앞으로 포괄적인 시각에서 세종시 문제를 포함한 국정 현안 전반을 검토한 후 인사청문회에서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학자 관점에서 볼때 세종시 계획이 효율적이지 않은 만큼 수정해야 한다는 게 그의 개인적 소신으로, 인사청문회에서 그 소신을 유지할지 아니면 국정운영이라는 큰 틀에서는 판단과 결정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입장으로 선회할지 주목된다. 심인성 고일환 기자 sims@yna.co.kr (서울=연합뉴스)
최근 심대평 전 대표의 탈당에 이어 충청 총리 지명으로 위기에 처한 자유선진당은 정 후보자의 세종시 발언을 역공의 기회로 삼는 분위기다. 선진당은 이미 이회창 총재까지 직접 나서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성토하는 등 이미 정치쟁점화를 시도하고 나섰다. 한나라당 역시 충청 민심을 의식, 원안 추진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충청 총리 카드로 모처럼 충청 민심을 되돌릴 기회를 잡았는데 절대 놓칠 수 없다는 각오가 읽혀진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지난 4-5일 천안에서 열린 의원연찬회에서 "이번 정기국회에서 세종시법은 반드시 원안대로 통과시킬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핵심 당직자는 "정 후보자의 입장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지금의 세종시법을 수정하기는 힘들 것"이라면서 "야당이 정 후보자의 말꼬리를 문제 삼아 정치쟁점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정 후보자는 국정 전반을 관할하는 총리에 내정된 만큼 앞으로 포괄적인 시각에서 세종시 문제를 포함한 국정 현안 전반을 검토한 후 인사청문회에서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학자 관점에서 볼때 세종시 계획이 효율적이지 않은 만큼 수정해야 한다는 게 그의 개인적 소신으로, 인사청문회에서 그 소신을 유지할지 아니면 국정운영이라는 큰 틀에서는 판단과 결정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입장으로 선회할지 주목된다. 심인성 고일환 기자 sims@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