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연 조사…73%가 지방분산 공감
‘집 안옮길 것’이란 일부 주장과 달라
‘집 안옮길 것’이란 일부 주장과 달라
대전발전연구원이 정부대전청사 이전 10돌을 맞아 2008년 7월 조사한 ‘정부대전청사의 대전 이전에 따른 효과 분석’ 보고서를 보면, 정부대전청사의 국가공무원 572명 가운데 96.5%가 현재 대전에서 거주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특히 정부대전청사가 이전하기 전 대전 이외의 지역에서 거주한 공무원 522명 가운데 대전으로 이주한 사람은 461명으로 88.3%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한 공무원 가운데 가족 전체가 이주한 경우는 65.8%, 혼자나 가족 일부만 이주한 경우는 34.2%였다.
이런 연구 결과는 대전발전연구원이 2003년 정부대전청사 이전 5돌 때 조사한 결과와 비슷하다. 2003년에는 정부대전청사 공무원의 97.7%가 대전에서 살고 있었고, 이 가운데 82.3%가 정부청사 이전 뒤 대전으로 이주했으며, 가족 모두 이주한 경우는 62.1%였다.
정부대전청사에서 근무하는 국가공무원들은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대한 지지도도 매우 높았다. 정부와 산하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할 필요성이 있느냐는 물음에 28.5%가 ‘매우 필요하다’, 39%가 ‘필요한 편이다’라고 답해 67.5%가 정부청사를 지방으로 이전할 필요가 있다고 대답했다. 정부기관의 지방 이전이 수도권 과밀 해소와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느냐는 질문에는 25.7%가 ‘매우 도움이 된다’, 47.4%가 ‘도움이 되는 편이다’라고 답하는 등 73.1%가 긍정적이었다. 청사 이전의 효과에 대해서도 ‘효과가 크다’는 의견이 71.1%였으며 효과가 적다는 의견은 5.1%에 불과했다.
정부대전청사 공무원들은 또 중앙청사 이전의 기대 효과가 무엇이냐는 물음에 대해 45.5%가 ‘국토균형발전’, 31.1%가 ‘수도권 인구 분산’이라고 답했다.
이 보고서는 “이번 연구 결과, 정부와 산하기관의 이전은 수도권 과밀 해소와 지방 발전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이전의 필요성이 있고, 그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행정중심복합도시 등 정부기관의 지방 이전은 지속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또 중앙정부 부처의 지방 이전이 지역 균형발전과 관련된 공무원들의 인식에도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를 수행한 문경원 대전발전연구원 기획조정실장은 “정부대전청사의 공무원들은 월급의 80%를 대전 안에서 지출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도 크다”며 “정부대전청사 이전 초기 서울에서 출퇴근하던 모습은 거의 사라졌고 이주해온 공무원들은 대부분 대전 시민이 됐다”고 평가했다.
대전 서구 둔산동의 정부대전청사에는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등 8개 중앙정부 소속 청과 국가기록원, 청사관리소, 감사원 대전사무소 등 11개 정부기관의 47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사진 대전시청 제공
정부대전청사 공무원 설문결과
대전 서구 둔산동의 정부대전청사에는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등 8개 중앙정부 소속 청과 국가기록원, 청사관리소, 감사원 대전사무소 등 11개 정부기관의 47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사진 대전시청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