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단체 “주민뜻 실제반영 의심”
화성시장 “조사대상 선정기준 의문”
화성시장 “조사대상 선정기준 의문”
행정안전부의 주민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된 뒤 통합대상 지역의 여론은 극명하게 갈렸다.
곳곳에서 여론조사의 신뢰도를 문제 삼거나 여론조작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행안부가 여론조사 결과에서 ‘무응답’을 빼고 백분율을 다시 계산해 찬성율이 50%를 넘겼다고 밝힌 청원과 성남에서는 ‘신종 사사오입’ 여론조사라는 비난도 나왔다.
지난 9월 전국 처음으로 통합을 선언한 경기도 성남시와 하남시의 두 시장은 인근 광주시와의 통합에 대해 “시민들이 새로운 발전을 위 한 초석을 마련한 것”이라며 환호했다. 그러나 2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관제졸속 통합저지 성남시민 대책위원회’는 “주민 의사가 실제로 반영됐는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이재명 변호사는 “무응답을 빼고 다시 계산해 과반수를 만드는 것은 ‘신종 사사오입’ 여론 조작”이라고 비난했다. 이 변호사를 비롯해 분당주민연합회 대표 김홍철 교수 6명은 “주민들을 속이고 관권을 동원해 강제적으로 통합을 추진하는 것은 헌법에 보장된 행복추구권과 주민자치권을 침해했다”며 이날 헌법 소원을 냈다.
경기도 안양· 군포·의왕 지역에서도 이필운 안양시장을 빼곤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군포시와 의왕시 쪽은 “지방자치가 후퇴하는 꼴”이라며 지방의회 처리나 주민투표 과정에서 흡수통합의 부당성과 단점을 알리겠다고 벼르는 양상이다.
충북 청원군 의회는 성명을 내어 “청주시와의 통합 찬성률은 애초 46.9%에 지나지 않아 통합 대상 지역이 아닌데도 행정안전부가 무응답을 뺀 엉터리 계산으로 통합 대상에 억지로 포함시켰다”며 “꿰맞추기식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 타율 통합 추진은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재욱 청원군수도 “정부가 막무가내로 추진하는 통합”이라며 “이상한 여론조사 결과로 인해 주민투표까지 가게 돼 엄청난 예산 낭비가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또 화성·오산 지역의 최영근 화성시장도 “조사대상 선정기준, 지역편차 등 여론조사 신뢰도에 의문이 든다”며 “앞으로 절차를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통합반대는 지금도 변함이 없다”며 “결혼하기 싫은데 결혼하는 것과 같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윤한섭 오산시의회 의장은 “수원까지 포함한 통합에 대한 찬성율이 높은 것은 의외”라며 “통합하더라도 화성과 해야지 수원까지 통합하면 오산은 변두리로 전락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두 지역에서 통합이 추진되는 경남은 큰 동요가 없었다. 그러나 진주시·산청군 통합 방안과 관련해, 진주시의 한 관계자는 “여론조사에서 진주 쪽의 찬성률도 꽤 높게 나온 것은 진주에 산청 출신 주민들이 많기 때문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성남 청주 창원/김기성 오윤주 최상원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