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소재 경쟁력 제고 대책 확정
`3천억 부품·소재 M&A 펀드'도 조성
우수 소재학과 대학생 진로, 정부가 직접 관리
`3천억 부품·소재 M&A 펀드'도 조성
우수 소재학과 대학생 진로, 정부가 직접 관리
오는 2018년까지 1조원을 투입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10대 핵심소재(WPM:World Premier Material)를 개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지식경제부는 16일 선진국의 60% 선인 핵심소재 기술 수준을 90%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부품.소재 경쟁력 제고 종합대책'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 대책에 따르면 정부는 우선 고유 브랜드화가 가능한 10대 핵심소재를 개발한다는 목표 하에 소재 생산 및 수요 기업과 학계, 연구기관으로 구성된 '기업형 사업단'을 만들기로 했다.
또 사전 설정된 목표를 제대로 달성하지 못하면 과제를 중단하는 '마일스톤 목표관리제'를 도입하고 필요할 경우 과제별로 복수의 연구주체를 선정해 경쟁을 유도할 계획이다.
원천기술 확보와 응용 핵심기술 확보, 사업화 개발 등 3단계로 진행될 이 사업에는 내년부터 2018년까지 재정자금 1조원이 투입된다.
아울러 1천억원 규모의 소재 전문펀드를 조성해 소재기업이 사업화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소재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희토류 등 희유금속의 안정적 공급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조달청과 광물공사의 비축규모를 현재의 27.9일, 4.7일에서 2012년까지 각각 60일, 31.7일로 늘리기로 했다.
이와 함께 100대 수입 부품과 소재 중 각 10개를 골라 개발을 지원하는 자립화 기술개발 사업도 추진된다.
수입규모가 크거나 미래에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을 내년 1월까지 선정한 뒤 2012년까지 2천억원을 들여 부품.소재기업과 수요기업 간의 공동 연구.개발(R&D)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들 품목의 수출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수출보험공사가 부품.소재 결함에 따른 피해를 담보해주는 신뢰성 보험의 가입 대상과 보험금 지급범위를 대폭 늘리기로 했다. 부품.소재 기업의 대형화도 추진된다. 정부는 이달 말 산업은행과 우정사업본부가 3천억원의 부품.소재 해외 인수.합병(M&A) 펀드를 조성토록 해 이를 바탕으로 해외 부품.소재기업의 M&A를 돕기로 했다. 또 수요기업들이 부품.소재기업에 투자를 늘릴 수 있도록 수요기업의 투자와 정부의 R&D 지원을 합친 '수요기업 투자연계형 기술개발사업'을 내년부터 시작하는 한편, 해외 벤처캐피털의 국내 부품.소재기업 투자 유치활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부품.소재기업의 큰 애로점인 연구인력 부족문제를 해결하는 일에도 정부가 나선다. 정부는 화학, 재료, 금속공학 등 소재 관련 학과의 우수 학생에게 교육.생활비를 지원하고 관련 분야에 종사할 수 있도록 졸업 후의 진로를 특별관리해 주는 제도를 내년 상반기에 도입하기로 했다. 이밖에 생산기술연구원 등 출연 연구기관의 연구인력을 부품.소재 관련 중견.중소기업에 최소 3년 이상 장기 파견하되 인건비의 70%를 국고로 부담하는 제도를 시행할 예정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핵심 부품.소재를 수입에 의존하는 만성적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부품.소재산업의 질적 경쟁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종수 기자 jsking@yna.co.kr (서울=연합뉴스)
수입규모가 크거나 미래에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을 내년 1월까지 선정한 뒤 2012년까지 2천억원을 들여 부품.소재기업과 수요기업 간의 공동 연구.개발(R&D)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들 품목의 수출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수출보험공사가 부품.소재 결함에 따른 피해를 담보해주는 신뢰성 보험의 가입 대상과 보험금 지급범위를 대폭 늘리기로 했다. 부품.소재 기업의 대형화도 추진된다. 정부는 이달 말 산업은행과 우정사업본부가 3천억원의 부품.소재 해외 인수.합병(M&A) 펀드를 조성토록 해 이를 바탕으로 해외 부품.소재기업의 M&A를 돕기로 했다. 또 수요기업들이 부품.소재기업에 투자를 늘릴 수 있도록 수요기업의 투자와 정부의 R&D 지원을 합친 '수요기업 투자연계형 기술개발사업'을 내년부터 시작하는 한편, 해외 벤처캐피털의 국내 부품.소재기업 투자 유치활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부품.소재기업의 큰 애로점인 연구인력 부족문제를 해결하는 일에도 정부가 나선다. 정부는 화학, 재료, 금속공학 등 소재 관련 학과의 우수 학생에게 교육.생활비를 지원하고 관련 분야에 종사할 수 있도록 졸업 후의 진로를 특별관리해 주는 제도를 내년 상반기에 도입하기로 했다. 이밖에 생산기술연구원 등 출연 연구기관의 연구인력을 부품.소재 관련 중견.중소기업에 최소 3년 이상 장기 파견하되 인건비의 70%를 국고로 부담하는 제도를 시행할 예정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핵심 부품.소재를 수입에 의존하는 만성적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부품.소재산업의 질적 경쟁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종수 기자 jsking@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