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형 감사원장이 15일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감사원 국정감사에 출석해 눈을 감고 생각에 잠겨 있다. 공동취재사진
‘정치 감사’ 논란에 휩싸인 채 1년 넘게 결론을 내지 못한 월성원전 1호기 조기 폐쇄의 타당성 감사 결과가 이르면 19일 공개될 예정이다. 감사 과정에서 산업통상자원부 공무원들의 자료 삭제, 허위 진술 행위에 대한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최재형 감사원장은 1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감사원 감사에서 “나흘(간) 감사위원회를 열어 중요한 쟁점사항에 대해서 모두 합의했다”며 “빠르면 (다음주) 월요일, 늦으면 화요일까지 (감사 결과) 공개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감사 결과 보고가 늦어진 이유에 대해서는 사안의 복잡성과 피감 대상자들의 저항을 꼽았다. 최 원장은 “국회의 감사 요구가 있고 나서 산업부 공무원들이 관련 자료를 모두 삭제해 복구하는 데 시간이 걸렸고, 진술받는 것도 상당히 어려웠다”며 “저항이 이렇게 심한 감사는 재임하는 동안에 처음”이라고 했다. 앞서 여당 쪽에서는 감사원이 월성 1호기 감사 과정에서 한 산업부 공무원을 10차례 이상 불러 조사한 사실을 확인하며 ‘강압 감사’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이번 감사는 지난해 9월30일 국회의 요청으로 시작됐으나, 지난 4월 감사위원회에서 보류 결정이 난 뒤 최근까지 감사를 진행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 7월 최 원장이 ‘대선에서 41% 지지밖에 받지 못한 정부의 국정과제가 국민의 합의를 얻었다고 할 수 있겠느냐’고 발언한 사실이 알려지며 이번 감사에 대한 정치적 중립성 논란이 불거졌다. 국민의힘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반대하는 최 원장에 대해 여권이 정치적 압력을 행사했다고 주장하며 정치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 원장은 이와 관련해 “목적을 가지고 감사했다는 것은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또 “여러가지 말들이 있었던 건 사실”이라면서도 “전혀 핍박이나 압력으로 생각하지 않았고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점을 분명히 말한다”고 덧붙였다.
‘제2의 윤석열이라는 평가가 있다'는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의 언급에도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최 원장은 다음주 공개될 감사 결과와 관련해 “4월과 (비교해) 현재 (내린) 결론이 큰 틀에서 변화는 없다”며 “균형 잡힌 결론을 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