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원내대표(오른쪽)와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가 2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회의장 주재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주먹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28일 국회에 부동산특위·글로벌백신허브특위·코로나극복민생경제특위·정치개혁특위 등 4개의 특위를 설치해 민생 및 현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그러나 현재 공석인 법제사법위원장 자리를 놓고선 여전히 평행선을 그었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8일 박병석 국회의장이 주재한 가운데 만나 상임위원장 배분 및 특위 설치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윤 원내대표는 정치개혁특위와 코로나극복민생경제특위를 제안했고, 김 원내대표는 부동산특위와 글로벌백신허브특위를 각각 제안했다. 전주혜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이 4개 특위 구성에 대해서 양당 간에 상당한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후에 구체적인 내용은 추가 협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여야는 또 이미 임기가 끝난 예결특위 위원 구성의 필요성에 공감해 추후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여야는 또한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피해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위 구성에 대해서도 협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그러나 여야 원내대표는 해묵은 갈등인 법사위원장 문제는 이견만 확인한 채 헤어졌다. 김 원내대표는 “그동안 법사위원장과 국회의장은 출신 정당을 달리해, 서로 견제와 균형 원리를 유지했다. 그런데 지금도 법사위원장은 여전히 민주당이 가지고 있다”며 “21대 국회가 독점적 국회 운영의 늪에 빠져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윤 원내대표는 “7개 상임위원장을 가져가기로 한 걸 야당이 안 가져가겠다고 했다”며 “여야가 합의한 걸 야당에서 버린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원내대표는 “제가 한 번도 원하지도 않았던 상임위 배정을 통보받아 황당하기 짝이 없다”고 맞받았다. 민주당은 지난 18일 국민의힘에 법사위원장을 뺀 정무·국토교통·교육·문화체육관광·환경노동·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예산결산위원회 등 7개 상임위원장 자리를 주겠다고 제안한 바 있다.
박병석 국회의장은 이 자리에서 “국가 균형 발전 차원에서 세종의사당 건립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정개특위에선 개헌 문제까지 논의하면 좋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의장실 관계자가 설명했다. 여야 원내대표는 오는 30일 다시 한 번 박 의장 주재로 열리는 회동에 참석해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