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원회 부동산 전수조사로 아버지의 투기 의혹이 불거진 뒤 제출된 윤희숙 의원의 사퇴안이 정기국회 본회의에서 표결로 처리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 의원은 정기국회가 개회된 1일 국회 의원회관의 짐을 정리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윤 의원이 사실상 의원실을 폐쇄한 것으로 보인다. 사퇴 의사가 강한 상태”라고 전했다. 사무실 정리를 끝낸 윤 의원은 사퇴안이 처리될 때까지 의원 세비도 반납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부친의 부동산 불법 의혹을 통보받은 윤 의원은 지난 25일 의원직 사퇴를 선언한 뒤 박병석 국회의장에게 사직서를 제출했다. 회기 중엔 국회 본회의에서 표결로 사퇴안이 처리되지만 여야가 언론중재법 처리를 놓고 대치하면서 윤 의원 사퇴안은 9월 정기국회로 넘어갔다.
국민의힘은 윤 의원의 사퇴를 만류해왔지만 이제는 본인의 뜻을 존중해 이달 안에 사퇴안을 처리하겠다는 입장이다.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문화방송>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윤 의원과 전화통화도 했고 만나서 대화도 나눴지만 (윤 의원이 사직안을) 빨리 처리해달라고 했다”며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마무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야가 합의한 9월 국회 본회의 일정은 오는 8일과 9일, 13~16일, 27일, 29일이다. 국민의힘은 언론중재법 처리 일정으로 잡힌 27일 전에는 사퇴안을 표결에 부치자고 요구하고 있다.
의원 사퇴안은 국회 본회의에서 재적 의원 과반이 출석하고, 출석 인원의 과반이 찬성해야 통과된다. 절대다수 의석을 가진 여당이 윤 의원 사퇴의 키를 쥐고 있는 셈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윤 의원 사퇴 찬반을 당론으로 정하지 않고 자유투표로 대응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윤 의원이 부동산 의혹에 따른 책임을 지겠다면서도 ‘정치적 희생양’을 자처하고 있는 만큼 의원직 사퇴 진정성이 의심스러우며, 정치적 면죄부를 얻기 위한 행위에 동참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자기 행동에 대한 자기 심판, 셀프로 처벌했다는 얘기를 하려는 목적의 의원직 사퇴는 안 된다”며 “민주당 의원 대부분이 사퇴에 동의하지 않고 있는데 사퇴안이 상정되면 개별 의원들이 각자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배지현 노지원 기자
bee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