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기획통’ 이광재 전격 발탁
열린우리당 정동영 체제의 인적 인프라가 마침내 모습을 드러났다.
우리당은 24일 오전 정동영 의장 주재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당의 핵심요직으로 꼽히는 기획위원장과 사무부총장 인선을 확정, 새 지도부의 틀짜기를 마무리했다.
정 의장이 취임후 처음으로 단행한 당직개편은 전반적으로 당의장 중심의 `친정체제' 강화에 주안점을 두면서 지방선거를 겨냥한 `선거관리체제' 구축이라는 성격도 최대한 살린 것으로 평가된다.
이런 맥락에서 당직의 `노른자위' 격인 비서실과 조직.전략 파트에는 정동영계 또는 전대회 경선과정에서 보조를 같이했던 친노직계 인사들이 두루 폭했다.
비서실은 정동영 직계 인사들이 `접수'하고, 지방선거 정국에서 핵심 역할을 맡을 조직.전략 파트는 전문능력을 갖춘 친노직계 인사들이 중용됐다.
이번 당직개편의 하이라이트는 노무현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로 분류되는 이광재(光) 의원을 당 기획위원장에 발탁한 대목.
이 의원은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 캠프에서 선거기획과 전략업무를 맡아 노 대통령을 당선시키는데 일등공신 역할을 해온 인물. 그러나 이 의원은 작년 유전개발 의혹과 `단지' 논란에 휩싸여 거의 공개적인 운신을 못해왔다. 정 의장의 한 측근은 "남들이 아이디어 하나를 낼 때 이 의원은 5∼6개를 내놓을 정도"라며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 의원의 `주특기'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물론 전대 경선에서 `연대'했던 친노직계 그룹에 대한 `배려'도 작용한 것으로 측면도 있다. 또 당.청관계 개선과 `정무기능' 강화라는 측면도 고려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청관계의 `연결고리'를 맡을 인물로 참여정부 초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이 의원 만한 적임자가 없다는 것이다. 이번 당직개편에서 눈길을 끄는 또하나의 대목은 `40대 재선그룹 껴안기'다. 전대 경선에서 탈락한 40대 후보인 김부겸, 이종걸 의원이 각각 홍보기획위원장과 교육연수위원장에 기용한 것이다. 또 임종석, 김영춘 의원에게 5.31 지방선거와 관련해 서울과 부산지역 선거책임 업무를 일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장은 전대 후보 캠프에서 활동했던 이재경씨를 비서실 총괄차장, 양기대씨를 정무특보, 정권수씨를 비서실 차장에 각각 임명했다. 우리당은 이밖에 중앙당내 주요 위원장 인선에서는 계파와 선수, 원내.외 여부를 적절히 배려, 당내 잡음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했다. 그러나 이번 당직개편을 놓고 김근태계 등 일부 계파를 중심으로 정동영계의 `독주'를 우려하는 시각도 나오고 있어 자칫 당내 갈등의 불씨가 될 소지가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 의원은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 캠프에서 선거기획과 전략업무를 맡아 노 대통령을 당선시키는데 일등공신 역할을 해온 인물. 그러나 이 의원은 작년 유전개발 의혹과 `단지' 논란에 휩싸여 거의 공개적인 운신을 못해왔다. 정 의장의 한 측근은 "남들이 아이디어 하나를 낼 때 이 의원은 5∼6개를 내놓을 정도"라며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 의원의 `주특기'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물론 전대 경선에서 `연대'했던 친노직계 그룹에 대한 `배려'도 작용한 것으로 측면도 있다. 또 당.청관계 개선과 `정무기능' 강화라는 측면도 고려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청관계의 `연결고리'를 맡을 인물로 참여정부 초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이 의원 만한 적임자가 없다는 것이다. 이번 당직개편에서 눈길을 끄는 또하나의 대목은 `40대 재선그룹 껴안기'다. 전대 경선에서 탈락한 40대 후보인 김부겸, 이종걸 의원이 각각 홍보기획위원장과 교육연수위원장에 기용한 것이다. 또 임종석, 김영춘 의원에게 5.31 지방선거와 관련해 서울과 부산지역 선거책임 업무를 일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장은 전대 후보 캠프에서 활동했던 이재경씨를 비서실 총괄차장, 양기대씨를 정무특보, 정권수씨를 비서실 차장에 각각 임명했다. 우리당은 이밖에 중앙당내 주요 위원장 인선에서는 계파와 선수, 원내.외 여부를 적절히 배려, 당내 잡음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했다. 그러나 이번 당직개편을 놓고 김근태계 등 일부 계파를 중심으로 정동영계의 `독주'를 우려하는 시각도 나오고 있어 자칫 당내 갈등의 불씨가 될 소지가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