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주 정의당 비대위원장이 7월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제7차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정의당이 비례대표 의원 5명의 총사퇴 권고 여부를 놓고 당원 총투표를 실시한다. 창당 뒤 처음으로 성사된 당원총투표다.
정호진 전 수석대변인은 14일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 8월7일 1002명 당원의 이름으로 당원 총투표 발의 서명부를 제출한 결과, 당권자 937명의 유효서명을 받아 당원 총투표에 돌입하게 됐다”고 밝혔다. 정의당에선 당원의 5%인 910명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 당원 총투표가 가능하다. 이동영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정의당) 비대위가 (당원 총투표 발의 요건이 성립됐다고) 통보를 했기 때문에 향후 절차는 독립기관인 정의당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주관하게 된다”며 “선관위에서 (광복절) 연휴 뒤 투표일정 등을 공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전 대변인은 지난달 5일 비례대표 총사퇴를 요구하는 당원 총투표를 제안했다. 정의당 의석 6석 중 심상정 의원(경기 고양갑)을 제외한 5석이 비례대표다. 당시 정 전 대변인은 “대선과 지방선거 참패는 물론 비호감 정당 1위라는 결과를 받아든 지금, 비례대표들은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다”며 “비례대표 5석을 통해 ‘달라지는 정의당’을 보여주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권고안이 당원 총투표를 거쳐 가결되더라도 강제성이 없는 만큼 비례대표 의원들이 반드시 사퇴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당원 총투표는 비례대표 신임 투표 성격이어서, 권고안이 가결되면 비례대표들은 정치적 부담을 안을 수밖에 없다. 제안자인 정 전 대변인은 “이번 당원 총투표는 비례대표 국회의원 사퇴 권고에 대한 찬반을 다투는 수준의 일이 아니라 정의당이 원내정당으로서 국민들에게 자격을 인정받을 수 있는지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당내에선 비례대표 총사퇴 권고에 대한 이견이 적지 않다. 한 정의당 관계자는 “정의당 10년의 실패의 책임을 이제 임기 절반 남짓을 마친 비례대표 의원들에게 모두 물을 수 있는지 의문”이라며 “정의당의 노선을 완전히 재정립해야 하는 상황에서 에너지를 엉뚱하게 쓰게 되지 않을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임재우 기자
abbad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