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가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에서 이태원 사고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한덕수 국무총리는 2일 이태원 참사 발생 4시간 가량 전 경찰이 시민들의 112 신고를 묵살했던 것과 관련해 “조사가 끝나는 대로 상응하는 책임을 엄중히 묻겠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경찰의 가장 기본적인 임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다.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는데 안일한 판단이나 긴장감을 늦추는 일이 있다면 국민들의 믿음을 저버리는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한 총리는 “국민 한분 한분이 112 버튼을 누를 때는 상당히 급박하고 경찰의 도움이나 조치가 절실한 경우”라며 “그 이면에는 언제든지 달려와 줄 것이라는 경찰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있다”고 했다.
한 총리는 또 “경찰은 특별수사본부와 감찰을 통해 철저히 조사하고, 국민들께 투명하고 소상하게 설명해 주시기 바란다”며 “112대응 체계의 혁신을 위한 종합 대책도 마련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한 총리는 자신이 전날 이태원 참사 관련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답변 도중 여러차례 웃으며 농담을 던져 여론의 비판을 받은 일에 대해선 사과하지 않았다.
한 총리는 “어제 외신기자 브리핑에서 언론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각 부처는 문체부를 중심으로 국내외 언론과 소통을 강화하고, 필요한 경우 사실관계를 언론에 정확히 전달하는 노력을 강화해 주시기 바란다”고만 말했다.
선담은 기자
s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