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지방선거가 여당의 참패로 확인된 31일 저녁 서울 영등포동 열린우리당 개표상황실에 주인을 잃은 장미가 한쪽 책상 위에 올려져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통합론도 “당 유지” “창조적 파괴” 갈려
영남권 인사 “지역정당 부활” 반발 거세
영남권 인사 “지역정당 부활” 반발 거세
열린우리당 진로
“이제 열린우리당은 어디로 갈 것인가?”
5·31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열린우리당이 중대 기로에 섰다. 당장 지도부 총사퇴 등 지방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공방이 불가피해 보인다. 하지만 정치권의 최대 관심사는 열린우리당의 존폐를 포함한 장기적인 생존 전략에 집중된다. ‘무능한 여당’으로 낙인찍혀 국민적 신뢰를 잃고, 지방선거 참패로 위상이 급속히 축소되면서 ‘중도개혁세력’의 대표 정당으로 생존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열린우리당 내부에서는 벌써부터 향후 진로에 대한 이견이 분출하고 있다. 당내 최대 계파인 정동영계와 김근태계, 친노직계 가운데 온건파로 분류되는 의정연구센터 소속 의원 등 다수는 ‘민주개혁세력의 대통합’이 살 길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정동영계인 수도권의 한 의원은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이 갈라서면 더 이상 한나라당에 대적할 수 없다는 게 이번 지방선거의 핵심 메시지”라며 “고건 전 총리, 민주당과의 대통합으로 내년 대선 승리의 가능성을 보여줘야만 한다”고 말했다. 2007년 대선에서 한나라당의 집권을 막는 것에 동의하는 모든 정치세력을 모아내는 것만이 열린우리당의 위기를 치유하는 방안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생존방식 역시 한계가 적지 않다. 일단 ‘민주개혁세력 대통합’을 지향하는 세력들이 현재 열린우리당 중심의 통합론과, 열린우리당의 창조적 파괴를 전제로한 대통합론으로 갈려있다. 재야파에 속한 한 의원은 “2007년 대선은 결국 수구보수세력 대 중도개혁세력의 대결이 될 것인만큼 향후 정치상황이 어떻게 변화해도 중도개혁세력의 조직적 중심으로 열린우리당을 지켜내야만 한나라당과 대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향후 정계개편이나 2007년 대선을 고려할 때 중도개혁세력을 대표하는 조직체인 열린우리당을 유지해야 한다는 논리다. 하지만 수도권의 한 의원은 “열린우리당은 이미 정치적 ‘뇌사 상태’에 빠졌고 어떤 기치를 내걸어도 국민들은 동의하지 않는다”라며 “고건 전 총리, 민주당, 시민사회단체 등 중도개혁세력의 대통합은 열린우리당의 창조적 파괴로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열린우리당은 민주개혁세력의 대통합을 추동할 힘이 없는 만큼 당 해체를 포함한 기득권 포기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열린우리당의 향후 진로를 민주개혁세력 대통합으로 설정하더라도 당의 해체 여부 등을 놓고 의원들이 격돌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김두관 경남지사 후보(당 최고위원), 이강철 대통령 정무특보, 문재인 전 청와대 민정수석 등 민주당과의 통합을 지역주의 정당으로의 회귀로 받아들이는 여당내 영남권 인사들의 반발도 당의 진로를 설정하는 데 중대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이들이 ‘한나라당 집권 반대’를 명분으로 민주당과 통합을 시도하려는 당내 다수 의견을 ‘호남정당 부활’로 규정하고 독자생존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노무현 대통령도 민주당과 통합에 반대 기류가 강하다. 자칫 민주개혁세력 대통합론이 열린우리당의 공중분해를 부추기는 요인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미 김두관 경남지사 후보와 이강철 대통령 정무특보는 ‘선거후 한나라당 집권 반대세력과의 대연합 추진’ 의사를 밝힌 정동영 의장을 향해 “정치적 꼼수이자 창당 초심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반발한 바 있다. 지방선거에 참패한 열린우리당의 미래는 이래 저래 암담해 보인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그러나 이런 생존방식 역시 한계가 적지 않다. 일단 ‘민주개혁세력 대통합’을 지향하는 세력들이 현재 열린우리당 중심의 통합론과, 열린우리당의 창조적 파괴를 전제로한 대통합론으로 갈려있다. 재야파에 속한 한 의원은 “2007년 대선은 결국 수구보수세력 대 중도개혁세력의 대결이 될 것인만큼 향후 정치상황이 어떻게 변화해도 중도개혁세력의 조직적 중심으로 열린우리당을 지켜내야만 한나라당과 대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향후 정계개편이나 2007년 대선을 고려할 때 중도개혁세력을 대표하는 조직체인 열린우리당을 유지해야 한다는 논리다. 하지만 수도권의 한 의원은 “열린우리당은 이미 정치적 ‘뇌사 상태’에 빠졌고 어떤 기치를 내걸어도 국민들은 동의하지 않는다”라며 “고건 전 총리, 민주당, 시민사회단체 등 중도개혁세력의 대통합은 열린우리당의 창조적 파괴로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열린우리당은 민주개혁세력의 대통합을 추동할 힘이 없는 만큼 당 해체를 포함한 기득권 포기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열린우리당의 향후 진로를 민주개혁세력 대통합으로 설정하더라도 당의 해체 여부 등을 놓고 의원들이 격돌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김두관 경남지사 후보(당 최고위원), 이강철 대통령 정무특보, 문재인 전 청와대 민정수석 등 민주당과의 통합을 지역주의 정당으로의 회귀로 받아들이는 여당내 영남권 인사들의 반발도 당의 진로를 설정하는 데 중대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이들이 ‘한나라당 집권 반대’를 명분으로 민주당과 통합을 시도하려는 당내 다수 의견을 ‘호남정당 부활’로 규정하고 독자생존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노무현 대통령도 민주당과 통합에 반대 기류가 강하다. 자칫 민주개혁세력 대통합론이 열린우리당의 공중분해를 부추기는 요인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미 김두관 경남지사 후보와 이강철 대통령 정무특보는 ‘선거후 한나라당 집권 반대세력과의 대연합 추진’ 의사를 밝힌 정동영 의장을 향해 “정치적 꼼수이자 창당 초심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반발한 바 있다. 지방선거에 참패한 열린우리당의 미래는 이래 저래 암담해 보인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