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외부 선장론' 발언 이후 열린우리당 내에서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제) 도입을 위한 공론화 작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우리당 백원우(白元宇) 의원은 9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오픈 프라이머리'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다.
당 지도부가 당헌.당규 개정을 통해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하겠다는 방침을 이미 밝혔고, 노 대통령이 지난 6일 여당 지도부와의 오찬회동에서 대권주자 외부 영입론으로 해석될 수 있는 언급을 함에 따라 당내 바닥 논의도 확산되는 기류다.
백원우 의원은 "오픈 프라이머리 논의를 바닥에서부터 위로 끌어올리기 위해 공부 모임 형식의 토론회를 열기로 한 것"이라며 "다양한 당내 논의를 통해 제도의 장.단점을 얘기하면서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호중(尹昊重) 의원은 미리 배포한 발제문에서 "우리당은 한나라당도 민주노동당도 될 수 없다"며 "공직후보 선출권을 국민에게 부여하는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윤 의원은 "거듭된 재.보궐선거와 지방선거의 실패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면 정치발전을 추동해온 세력으로서 무책임한 일"이라며 "2단계의 도약이 필요하며 그것이 완전 국민경선제와 정책협약운동"이라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국민경선은 공직후보에 한하고 당의 주요한 의사결정은 당원투표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당원의 권리를 박탈하는게 아니다"며 "당이 완전 국민경선제를 채택할 경우 대선후보와 관련된 모든 기득권을 포기, 자기희생을 통해 국민참여 민주주의 발전이라는 대의명분을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병두 의원은 "2006년 현재 우리당은 정당기능과 구조의 불안정으로 정당이라는 틀을 갖고 대선을 치르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 뒤 "부문별 대중.시민조직, 이익단체와의 `스몰 딜'을 통해 선거에서 주요 정책을 중심으로 당을 지지한다는 `빅딜 선언'이 이뤄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당원의 수는 제한적, 유동적이고 정파간 대립의 성격이 강하다"며 "오픈 프라이머리가 국민참여형 선거라면 정강정책과 지지를 서로 주고받는 스몰딜 운동은 국민참여형 정강정책수립 운동"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는 과거처럼 수백개의 공약을 뿌리듯이 언론에 발표하는 일방적 선거운동과 질을 달리하는 것"이라며 "스몰딜 운동을 통해 다시 국민과의 관계를 복원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정윤섭 기자 jamin74@yna.co.kr (서울=연합뉴스)
그는 "현재 당원의 수는 제한적, 유동적이고 정파간 대립의 성격이 강하다"며 "오픈 프라이머리가 국민참여형 선거라면 정강정책과 지지를 서로 주고받는 스몰딜 운동은 국민참여형 정강정책수립 운동"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는 과거처럼 수백개의 공약을 뿌리듯이 언론에 발표하는 일방적 선거운동과 질을 달리하는 것"이라며 "스몰딜 운동을 통해 다시 국민과의 관계를 복원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정윤섭 기자 jamin74@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