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쪽 "철저한 당 쇄신" 주문, "오픈프라이머리 정신 살려야"
박쪽 `강대표 중심…경선룰 재조정 안돼"…갈등 불씨 여전
박쪽 `강대표 중심…경선룰 재조정 안돼"…갈등 불씨 여전
한나라당 대선주자인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은 2일 "개혁은 선택이 아니라 민심의 명령이며 국민에 대한 도리"라며 "뼈를 깎고 살을 도려내는 아픔이 따르더라도 오직 국민을 두려워 하는 마음으로 자기쇄신을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전 시장은 이날 오전 자신의 개인사무실인 견지동 안국포럼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고심에 고심을 거듭한 끝에 개혁과 화합을 조화하는 어려운 길을 택하기로 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특히 그는 박근혜(朴槿惠) 전 대표와의 회동에 대해 "무조건 만날 수 있으면 만나서 앞으로의 일에 대해 대화하고 당의 화합과 국민신뢰를 얻는데 노력하겠다"며 양자 회동을 공식 제의했고, 박 전 대표는 곧바로 "언제 어디서든 만날 수 있다"고 화답했다. 두 사람은 모임의 정례화에 대해서도 뜻을 같이했다.
강재섭(姜在涉) 대표측은 "4일 오후 당사 대표실에서 강 대표와 두 대선주자간 3자 회동을 갖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전 시장이 재보선 참패 이후 심화돼온 당 내분 사태와 관련, 강 대표 체제를 인정하고 박 전 대표와 회동을 갖기로 함에 따라 한나라당 내홍은 재보선 후 7일만에 수습의 길로 접어드는 분위기다.
그러나 이 전 시장측이 `당의 철저한 쇄신'과 `경선 룰 협상에서 민심과 당심 각각 50% 반영'을 강조한 반면, 박 전 대표측은 `강대표 중심론'과 `경선 룰과 재보선 무관론'을 견지하는 등 양측의 시각차가 여전해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다는 것이 당 안팎의 지적이다.
이 전 시장은 이날 회견문 낭독 및 기자들과의 일문일답을 통해 "당의 분열을 염려하는 목소리도 듣고 있다. 정권교체에 대한 간절한 염원"이라며 "앞으로 당이 깨지고 분열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고 못박았다.
다만 그는 "한나라당에 대한 국민의 과분한 사랑과 기대를 받들어야 하며 한편으로 스스로를 엄격히 다스리고 다른 한편으로 외연을 넓혀 신선한 기운을 채워가야 한다"고 당의 쇄신과 외연확대를 주문하면서 "지금 새롭게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하자는 것은 무리지만 그 정신을 살려 이미 합의된 당헌과 국민참여 5대5 비율내에서 국민 50%, 당원 50%의 뜻이 반영되도록 하는게 맞다"며 경선 룰과 관련한 기존 입장을 적극 개진했다. 그는 이재오 최고위원의 거취와 관련해서는 "당이 화합하면서 개혁을 하는 두 가지 과제를 하도록 이재오 최고위원에게 요구했고, 부당한 비방이 있더라도 선한 마음으로 대하자고 했고,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밝혀 이 최고위원이 사퇴하지 않고 지도부에 남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박 전 대표측의 최경환 의원은 "잘한 결정이며 다행스런 일"이라며 "이번 과정에서 당이 여러 가지로 바람직하지 않은 모습을 보인 면이 있는데 이번 결정을 계기로 대승적으로 조그만 유불리를 따지지 말고 대선 승리를 위해 단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 측근은 "당의 화합을 얘기하는 자리에서 경선 룰을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했고, 박 전 대표는 이 전 시장이 기자회견에서 제안한 양자 회동에 대해 "강 대표도 함께 자리를 했으면 한다"며 3자 회동을 역제안하기도 했다. 한편 홍준표 의원 등 당내 일부 중진 및 소장파 의원들은 "이번 일을 계기로 당은 없고 양 후보만 있는 것이 입증됐다", "봉합이나 화합이 아니라 야합"이라고 박.이 양측 캠프와 지도부를 거세게 비난하는 등 내홍의 여진도 계속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김현재 기자 kn0209@yna.co.kr (서울=연합뉴스)
다만 그는 "한나라당에 대한 국민의 과분한 사랑과 기대를 받들어야 하며 한편으로 스스로를 엄격히 다스리고 다른 한편으로 외연을 넓혀 신선한 기운을 채워가야 한다"고 당의 쇄신과 외연확대를 주문하면서 "지금 새롭게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하자는 것은 무리지만 그 정신을 살려 이미 합의된 당헌과 국민참여 5대5 비율내에서 국민 50%, 당원 50%의 뜻이 반영되도록 하는게 맞다"며 경선 룰과 관련한 기존 입장을 적극 개진했다. 그는 이재오 최고위원의 거취와 관련해서는 "당이 화합하면서 개혁을 하는 두 가지 과제를 하도록 이재오 최고위원에게 요구했고, 부당한 비방이 있더라도 선한 마음으로 대하자고 했고,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밝혀 이 최고위원이 사퇴하지 않고 지도부에 남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박 전 대표측의 최경환 의원은 "잘한 결정이며 다행스런 일"이라며 "이번 과정에서 당이 여러 가지로 바람직하지 않은 모습을 보인 면이 있는데 이번 결정을 계기로 대승적으로 조그만 유불리를 따지지 말고 대선 승리를 위해 단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 측근은 "당의 화합을 얘기하는 자리에서 경선 룰을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했고, 박 전 대표는 이 전 시장이 기자회견에서 제안한 양자 회동에 대해 "강 대표도 함께 자리를 했으면 한다"며 3자 회동을 역제안하기도 했다. 한편 홍준표 의원 등 당내 일부 중진 및 소장파 의원들은 "이번 일을 계기로 당은 없고 양 후보만 있는 것이 입증됐다", "봉합이나 화합이 아니라 야합"이라고 박.이 양측 캠프와 지도부를 거세게 비난하는 등 내홍의 여진도 계속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김현재 기자 kn0209@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