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노대통령과 사실상 결별 선언
세 규합뒤 5월말 탈당 결행할 듯
세 규합뒤 5월말 탈당 결행할 듯
정동영·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이 이달 중 탈당하겠다는 뜻을 공공연하게 내비치고 있다. 참여정부에서 장관을 지낸 두 사람의 이런 움직임은 열린우리당 사수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노무현 대통령과의 전면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정 전 의장은 3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당을 영속적으로 끌고 가자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 한 당 해체는 어려운 만큼, 당이 양쪽으로 분화될 수밖에 없다”며 “5월 말엔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 간판을 계속 유지하는 데 반대하는 사람들이 이달 말께 탈당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김 전 의장도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어 “먼저 열린우리당을 해체하고 민주당의 담을 허물어야 한다”며 “5월 말까지 결단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노무현 대통령의 잇따른 정치 관련 발언에 대해서도 “좀 그만 하셨으면 좋겠다”고 쏘아붙였다.
열린우리당내 양대 정파를 이끌고 있는 두 사람은 그동안 실존하는 권력인 노 대통령과의 정면 대립을 꺼려왔다. 대통령과의 마찰이 대선 행보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계산 때문이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 간판으론 통합도, 대선 승리도 어렵다’는 인식을 공유하면서, 노 대통령과 본격적인 갈라서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정동영 전 의장은 여당이 없는 상황에서 치러져 무소속 후보들의 대거 당선으로 귀결된 4·25 재보선 결과에 대해 “이는 열린우리당의 체제를 강화해서는 ‘안 된다’는 국민들의 뜻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의장도 “4·25 재보선에서 열린우리당과 노무현 대통령은 투표에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한 조건에서 한나라당은 참패했다”고 했다.
이들의 적극적인 움직임은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의 대선 불출마 선언에 따른 반작용이기도 하다. 참신한 외부 인사의 힘을 빌려 통합을 시도하려던 구상이 벽에 부닥친 상황에서, 먼저 행동하는 게 대선 국면에서 유리하다는 정치적 판단을 했을 수 있다.
당 안팎에선 “5월20일을 전후해 구체적 행동이 나타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 전 의장은 최근 지역 조직에 “결단할 날이 멀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한다. 김 전 의장도 탈당을 앞두고 세력을 규합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이 의원들을 이끌고 탈당하게 되면, 열린우리당은 사실상 해체 단계로 접어들 가능성이 크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김근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