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재안 무력화땐 분열 현실화 우려도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전 대표와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이 당내 대선후보 경선의 룰 문제로 첨예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가운데 강재섭 대표가 9일 양측의 입장을 절충한 중재안을 전격 제시함으로써 4.25 재보선 이후 표면화된 내분사태가 중대기로를 맞고 있다.
강 대표 중재안에 대한 양쪽 캠프의 수용 여부에 따라 당이 화합과 분열의 양 극단을 오갈 수 있기 때문이다.
양측이 대승적 차원에서 강 대표의 중재안을 받아들이면 당은 재보선 참패 이후 계속된 분열과 혼돈상에서 벗어나 빠르게 안정을 되찾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이 거부할 경우 지도부 총사퇴론이 재연되면서 당 전체가 극심한 혼돈의 소용돌이로 빨려들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만약 중재안이 거부될 경우 이, 박 진영이 쪼개지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도 당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다.
지도부가 와해되고, 그 후속조치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또는 전당대회를 통한 새 지도부 구성 과정에서 양 측간 반목과 갈등이 심화되면서 분열의 길로 치달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강 대표 중재안의 핵심은 한마디로 선거인단을 늘리고 국민투표율 최저선을 보장해 주는 방안으로 집약된다.
`8월-20만명'인 당초 합의안의 선거인단 규모를 23만1천여명 수준으로 소폭 확대하고 당원.대의원.일반국민 투표율 가운데 일반국민 투표율이 현저하게 낮을 경우 유효투표수 계산시 그 최저선을 60-70%(당원.대의원 합산 투표율의 3분의 2) 가량 보장해 주며, 투표소를 지구당별로 설치하는 방안 등 크게 3가지다. 이에 대해 양 캠프는 긴급 대책회의를 갖는 등 즉각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은 채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당초 예상보다 하루 앞서 나온 중재안을 면밀히 검토한 후 입장을 내놓겠다는 것. 박 전 대표측 이혜훈 의원은 "회의후 입장을 내놓겠다"고 말했고, 이 전 시장측 정두언 의원은 "고민중"이라는 짤막한 반응만 보였다. 그러나 양 캠프의 내부 기류를 들여다보면 미묘한 온도차가 느껴진다. 이 전 시장측은 "미흡하다"면서도 검토해 볼 수 있다는 기류가 있는 반면, 박 전 대표측에서 다소 불만 섞인 목소리가 감지되는 분위기다. 특히 박 전 대표 측에선 중재안의 3가지 내용 중 국민투표율 최저선 보장안에 대해 문제가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론조사 반영방식과 관련, 박 전 대표측이 주장한 `유효투표수의 20%' 원칙은 깨지지 않았지만 국민투표율 하한선을 보장해 줌으로써 우회적으로 여론조사 최저선을 보장해 준게 아니냐는 것. 박 전 대표측은 그동안 대의원과 당원, 일반국민선거인단의 투표율을 미리 예상해 특정 계층의 투표율 하한선을 보장해주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심인성 기자 (서울=연합뉴스)
`8월-20만명'인 당초 합의안의 선거인단 규모를 23만1천여명 수준으로 소폭 확대하고 당원.대의원.일반국민 투표율 가운데 일반국민 투표율이 현저하게 낮을 경우 유효투표수 계산시 그 최저선을 60-70%(당원.대의원 합산 투표율의 3분의 2) 가량 보장해 주며, 투표소를 지구당별로 설치하는 방안 등 크게 3가지다. 이에 대해 양 캠프는 긴급 대책회의를 갖는 등 즉각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은 채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당초 예상보다 하루 앞서 나온 중재안을 면밀히 검토한 후 입장을 내놓겠다는 것. 박 전 대표측 이혜훈 의원은 "회의후 입장을 내놓겠다"고 말했고, 이 전 시장측 정두언 의원은 "고민중"이라는 짤막한 반응만 보였다. 그러나 양 캠프의 내부 기류를 들여다보면 미묘한 온도차가 느껴진다. 이 전 시장측은 "미흡하다"면서도 검토해 볼 수 있다는 기류가 있는 반면, 박 전 대표측에서 다소 불만 섞인 목소리가 감지되는 분위기다. 특히 박 전 대표 측에선 중재안의 3가지 내용 중 국민투표율 최저선 보장안에 대해 문제가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론조사 반영방식과 관련, 박 전 대표측이 주장한 `유효투표수의 20%' 원칙은 깨지지 않았지만 국민투표율 하한선을 보장해 줌으로써 우회적으로 여론조사 최저선을 보장해 준게 아니냐는 것. 박 전 대표측은 그동안 대의원과 당원, 일반국민선거인단의 투표율을 미리 예상해 특정 계층의 투표율 하한선을 보장해주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심인성 기자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